유럽 ‘배터리 야망’ 좌절되나…노스볼트, 직원 20% 감원

입력 2024-09-24 16: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중국 시장 부진에 신규 투자 자금 조달 난항
직원 줄이고 증산 계획도 미뤄
스웨덴 정부는 “구제 없다” 방침

▲스웨덴 바스테라스에 노스볼트 공장이 보인다. 바스테라스(스웨덴)/로이터연합뉴스
▲스웨덴 바스테라스에 노스볼트 공장이 보인다. 바스테라스(스웨덴)/로이터연합뉴스
유럽 최대 배터리 제조업체 스웨덴 노스볼트가 자금 조달 문제로 흔들리면서 아시아 의존에서 벗어나려는 유럽의 야망이 좌초될 위기에 놓였다.

2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노스볼트는 자국 내 일자리 1600개를 감축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직원 5명 중 1명을 해고하는 꼴로, 투자자들로부터 신규 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피터 칼슨 노스볼트 최고경영자(CEO)는 “수년간 열심히 일해 모든 것을 쌓아 올린 누군가에겐 오늘이 매우 고통스러운 날”이라며 “그러나 이렇게 해야 하고 비용을 줄여야 한다”고 밝혔다.

배터리 증산 계획도 포기하기로 했다. 2021년 말 처음으로 배터리 양산을 시작한 노스볼트는 현재 셸레프테오에 16기가와트시(GWh) 규모의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애초 30GWh를 증산하기로 했지만, 실제 생산량은 1GWh 미만에 그치면서 좌절됐다. 프로세스 관리에 문제가 생기면서 수율 개선이 진행되지 않은 탓이다. 1GWh는 전기차 약 1만7000대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필요한 수준이다.

칼슨 CEO는 “내년에 소량의 배터리만 생산할 것이고 그 이듬해부터 수익성을 달성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설명했다.

노스볼트는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중국 CATL 등 글로벌 배터리 시장을 장악한 주요 아시아 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유럽의 몇 안 되는 희망이다. 회사 설립 후 폭스바겐, 골드만삭스, BMW, 지멘스 등으로부터 150억 달러를 조달했는데, 이는 유럽의 모든 민간 스타트업이 조달한 금액보다 많은 수준이다.

그러나 최근 노스볼트는 내수 부진에 빠진 중국에서 전기차 보급이 둔화하고 있다는 우려 속에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추가 조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게다가 스웨덴 정부마저 노스볼트를 구제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해 사면초가 상태다.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는 지난주 기자회견에서 “정부는 노스볼트 지분을 매수하지 않을 것”이라며 “기업 미래는 소유주가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스웨덴이 녹색 전환에 필요한 신기술에 적합한 곳이 되도록 노력하는 데는 의심할 여지가 없지만, 정부가 개입해 기업 지분을 차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폭싹 속았수다'서 불쑥 나온 '오나타', '○텔라'…그 시절 그 차량 [셀럽의카]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발매일ㆍ사양ㆍ게임까지 공개…'닌텐도 스위치 2'의 미래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414,000
    • -1.82%
    • 이더리움
    • 2,659,000
    • -4.18%
    • 비트코인 캐시
    • 445,600
    • -1.7%
    • 리플
    • 3,000
    • -4.25%
    • 솔라나
    • 172,100
    • -7.62%
    • 에이다
    • 950
    • -5.66%
    • 이오스
    • 1,174
    • -0.76%
    • 트론
    • 344
    • -2.82%
    • 스텔라루멘
    • 381
    • -3.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280
    • -5.89%
    • 체인링크
    • 18,880
    • -5.93%
    • 샌드박스
    • 377
    • -5.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