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형 태풍에도…베트남, 3분기 7.4% 성장

입력 2024-10-06 17: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조업 투자 증가 영향
올해 목표치 6.82~7.0% 난망

▲지난달 11일 초강력 태풍 야기가 강타한 베트남 하노이 외곽 쯔엉미 지역 마을이 완전히 물에 잠겨 있다.  하노이/신화연합뉴스
▲지난달 11일 초강력 태풍 야기가 강타한 베트남 하노이 외곽 쯔엉미 지역 마을이 완전히 물에 잠겨 있다. 하노이/신화연합뉴스

베트남 통계청이 올해 3분기(7~9월) 국내총생산(GDO) 성장률을 7.4%로 발표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6일 보도했다. 블룸버그 추정치인 6.1%와 직전인 2분기 성장률 7.09%를 웃돈다.

특히 베트남 정부는 지난달 발생한 초대형 태풍 ‘야기’가 북부 지역을 강타하면서 약 40조 동(2조1720억 원)의 피해가 발생했다며 올해 성장률이 예상보다 0.15%포인트(p) 감소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올해 제조업에 투자가 쏟아진 것이 타격을 제한했다. 베트남 통계청장은 “7월과 8월에 농업이 아닌 부문, 특히 제조업에서의 큰 폭의 성장이 지난달 태풍 야기로 인한 작물 생산량과 피해의 영향을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베트남은 스마트폰에서 반도체에 이르기까지 전자제품 생산에서 중국의 대안 국가로 떠오르고 있으며, 삼성전자와 인텔 등과 같은 외국 기술 대기업으로부터 자본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 팜 민 찐 베트남 총리는 물류 비용을 절감하고 인프라를 개선을 약속했다.

베트남 제조업은 3분기에 11.41%, 1~3분기 누적으로는 9.76% 성장했다.

1~3분기 지출된 누적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 약정된 FDI는 11.6% 늘었다.

단 통계청은 올해 성장률 목표치인 6.8~7.0%는 태풍 야기의 영향, 지정학적 긴장, 세계적인 경제 우려 등으로 ‘큰 도전’이 될 것이라고 봤다. 올 들어 9월까지 성장률은 6.82%로 집계됐다.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은 “베트남 중앙은행이 태풍 야기 사태 이후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해 더욱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펼 수 있다”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27일 성명을 통해 “지속적인 대외 수요 강세, 탄력적인 외국인 직접 투자, 완화적 정책에 힘입어 올해 베트남이 이전 예상치보다 약간 빠른 6.1%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875,000
    • -0.21%
    • 이더리움
    • 2,684,000
    • -0.56%
    • 비트코인 캐시
    • 454,100
    • +0.02%
    • 리플
    • 3,076
    • +1.25%
    • 솔라나
    • 174,600
    • -0.8%
    • 에이다
    • 970
    • +0.21%
    • 이오스
    • 1,234
    • +4.58%
    • 트론
    • 351
    • +1.74%
    • 스텔라루멘
    • 38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350
    • -0.42%
    • 체인링크
    • 19,240
    • -0.21%
    • 샌드박스
    • 389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