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사 이래 최대 경영난 속 대폭 상향
미국 임금 인플레이션 압박 확산 시사

창사 이래 최대 경영 위기에 봉착해 있는 미국 항공기 제조사 보잉 노사가 19일(현지시간) 4년간 임금을 35% 인상하는 노사 협상안을 잠정 타결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보잉 노동자 약 3만3000명을 대표하는 국제기계항공노동자연맹(IAM) 751지부는 이날 사측과 4년간 임금 35% 인상과 함께 연간 최소 상여금과 특별 상여금 등을 지급하기로 한 방안에 잠정 합의했다. 보잉 근로자의 연봉은 평균 약 7만5000달러(약 1억 원)다.
앞서 보잉 노조 지도부는 사측과 25%의 임금 인상안을 잠정 타결했지만, 노조원 95%의 반대로 불발됐다. 이번 합의안은 23일 노조의 찬반 투표 절차를 통과하면 최종 확정될 것으로 관측된다.
보잉은 잇따른 항공기 기체 결함 사고와 정부 벌금, 실적 부진으로 역대 가장 큰 어려움에 봉착해 있다. 자금난이 심화되자 350억 달러 규모의 긴급 자금 조달 계획도 추진 중이다.
관련 뉴스
여기에 지난달 13일부터 시작된 16년 만의 파업으로 대부분의 생산이 중단돼 막대한 손해를 감수해야 했다. 이에 18일에는 전 세계 직원의 10%인 1만7000개 일자리 감축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보잉의 신용등급이 ‘투자적격등급’에서 ‘정크(투자부적격)등급’으로 강등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미국 경제지 포브스는 “경영난에도 보잉이 35%의 임금을 인상한다는 것은 미국 노동시장 전체를 휩쓸고 있는 중대한 변화의 징후”라면서“임금 인플레이션은 이제 일시적인 문제가 아니라 현실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물가ㆍ만성적 노동력 부족ㆍ인재 경쟁 등 새로운 경제 환경 몰린 기업들이 인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강력하게 움직여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