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글로벌향 AI 에이전트 '에스터'로 북미 진출한다

입력 2024-11-05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클로즈 베타 테스트 완료…내년 출시 목표
계획 수립하고 목표 이행하는 에이전틱 AI
"텔코 협력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하겠다"

▲SK텔레콤 CI
▲SK텔레콤 CI

SK텔레콤이 글로벌 향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에스터(A*, Aster)’로 글로벌 AI 서비스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5일 밝혔다. 에스터는 ‘SK AI 서밋 2024’에서 최초 공개됐다.

에스터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해 단순 질의응답, 검색을 넘어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이를 완결적으로 수행하는 ‘에이전틱 AI(Agentic AI)’를 지향한다. 에스터는 내년 북미 시장 출시를 목표로 올해 클로즈 베타 테스트(Closed Beta Test)를 거쳤다.

에스터는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의도를 명확화하고 할 일(task) 목록을 생성해 서브 에이전트(Sub-agent) 연계까지의 과정을 유기적으로 거친다.

SKT는 에스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쉽고 간편한 계획 수립(Planning Made Easy) △빈틈없이 꼼꼼한 관리(Never Drop the ball) △신속한 응답(Timely Answer)을 전하고자 한다. 특히 모호하고 복잡한 요청에도 손쉽게 식당, 숙박, 교통 등의 예약 및 구매까지 완결적인 문제 해결을 지원한다.

정석근 글로벌·AI테크사업부장(부사장)은 ‘SK AI 서밋 2024’에서 통신사 중심의 인공지능(AI) 생태계 구축을 논의하는 패널 토의의 사회자로 참석해 주제 발표를 진행하며 ‘에스터’를 공개한다. 정 사업부장은 “기존 AI 서비스에서 사용자들이 느끼는 페인 포인트(Pain Point)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AI 에이전트(Personal AI Agent) 영역의 기회가 왔다”고 했다.

‘에스터(A*, Aster)는 ‘사람들의 일상을 안내하는 동반자(Guiding companion)’란 뜻이다. △중요한 일들을 점검할 때 사용하는 별표(*, Asterisk) △나의 일상을 효율적인 방향으로 이끌어주는 안내자(Navigator)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별표의 의미인 무궁무진한 연결·확장(Everything & Multiply)의 세 가지 의미를 담았다.

에스터의 로고는 △글로벌 텔코사들과의 긴밀한 네트워크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다이얼의 별표(*) 두 가지를 상징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폭싹 속았수다'서 불쑥 나온 '오나타', '○텔라'…그 시절 그 차량 [셀럽의카]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발매일ㆍ사양ㆍ게임까지 공개…'닌텐도 스위치 2'의 미래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549,000
    • -1.65%
    • 이더리움
    • 2,674,000
    • -3.71%
    • 비트코인 캐시
    • 448,800
    • -0.99%
    • 리플
    • 3,012
    • -3.74%
    • 솔라나
    • 172,700
    • -7.4%
    • 에이다
    • 956
    • -4.88%
    • 이오스
    • 1,180
    • -0.34%
    • 트론
    • 344
    • -3.1%
    • 스텔라루멘
    • 383
    • -3.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550
    • -5.31%
    • 체인링크
    • 19,050
    • -4.94%
    • 샌드박스
    • 379
    • -5.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