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전국 최초 ‘킥보드 없는 거리’ 지정…킥보드 관리 강화

입력 2024-11-05 16: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시, 사고 위험 높은 도로 킥보드 통행 금지
유예기간 없이 견인, 공무원 직접 견인도 시행

▲전동킥보드 사용 이미지. (연합뉴스)
▲전동킥보드 사용 이미지. (연합뉴스)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전동킥보드 통행을 금지하는 ‘킥보드 없는 거리’를 지정한다. 전동킥보드 불법 주정차 신고가 접수되면 바로 견인하며 필요 시 민간이 아닌 관할 공무원이 직접 견인한다.

서울시는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 급증과 과속, 무단 방치 등으로 인해 시민들의 보행안전을 위협하는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체계적인 관리대책 가동과 법제도 개선 등을 통한 강력 대응을 실시한다고 5일 밝혔다.

서울시가 만 15~69세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개인형 이동장치(PM) 대시민 인식조사(9.27.~9.30.)’를 펼친 결과 전동킥보드로 인한 불편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시민이 79.2%에 달했다. 이 중 충돌 위험을 겪었다는 응답이 75.5%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보도주행, 무단방치, 과속운전 순이었다.

아울러 응답자의 93.5%가 전동킥보드 견인제도 강화에 찬성했으며 주정차위반 전동킥보드 즉시 견인해 달라는 응답도 85.5%에 달했다. 전동킥보드 통행금지 구역 지정을 찬성한다는 의견도 88.1%였다.

이 외에도 파리, 멜버른 등의 해외도시의 전동킥보드 퇴출 사례와 관련해 서울 내 민간대여 전동킥보드 대여 금지에 대해선 75.6%의 시민이 찬성, 11.6%가 반대했다.

서울시는 이번 시민 조사 결과를 국회와 정부 관련 부처에 전달하고 현재 입안된 ‘개인형 이동수단의 안전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과 ‘도로교통법 개정안’의 조속한 처리를 다시 한번 촉구할 예정이다.

법률 제정 전까지는 시민들의 보행 불편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안전관리 특별대책을 적극 추진한다.

특별대책에는 △‘킥보드 없는 거리’ 지정 △킥보드 불법 주정차 신고 시 즉시 견인 △공무원들의 직접 견인 확대 등의 내용이 담겼다. ‘킥보드 없는 거리’는 올해 중 첫 지정 후 시범운영을 거쳐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윤종장 서울시 교통실장은 “전동킥보드 위법 운행, 불법 주정차 등으로 시민들이 보행 시 위협을 느끼지 않도록 전동킥보드 운행과 관련된 법제도 개선부터 관리‧대응방안까지 체계적으로 가동해 시민들의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계엄령 선포 무효…국회의장 "계엄해제 결의안 국회 가결"
  • 한국거래소 "해외 동향 살핀 후 7시 30분경 증시 운영 여부 확정"
  • 공공운수노조 “예정대로 5일부터 파업…계엄에 굴하지 않아”
  • 한동훈 "이런 사태 발생 대단히 유감…계엄 선포 효과 상실"
  • 영국 BBC “한국 윤석열, 이 시점에서 계엄령 선포한 이유”
  • 계엄군 국회서 철수중...국회밖 시민들 “윤석열을 체포하라”
  • 4일 정상등교 한다…교육부 “학사일정 정상 운영”
  • 한은 “4일 오전 중 임시 금통위 개최 예정…시장안정화 조치 논의”
  • 오늘의 상승종목

  • 12.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2,830,000
    • -0.63%
    • 이더리움
    • 4,984,000
    • -1.46%
    • 비트코인 캐시
    • 749,000
    • +3.17%
    • 리플
    • 3,556
    • -6.32%
    • 솔라나
    • 316,200
    • +1.25%
    • 에이다
    • 1,676
    • +0.3%
    • 이오스
    • 1,520
    • -2.44%
    • 트론
    • 384
    • +29.29%
    • 스텔라루멘
    • 710
    • -6.46%
    • 비트코인에스브이
    • 100,300
    • +0.8%
    • 체인링크
    • 33,960
    • +6.52%
    • 샌드박스
    • 1,047
    • +16.3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