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수위 “노태우 위인화 사업에 불법 비자금 동원돼”

입력 2024-11-08 14: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최태원-노소영 이혼 소송 항소심 2차 변론을 마친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뉴시스)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최태원-노소영 이혼 소송 항소심 2차 변론을 마친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뉴시스)

군사정권범죄수익국고환수추진위원회(환수위)가 8일 “노태우 비자금'에 대한 검찰의 조속한 수사를 촉구함과 동시에 노소영을 비롯한 노태우 일가를 강력히 규탄한다”라며 “최근 노태우 일가가 벌이고 있는 노태우 위인 만들기 사업에 동원되고 있는 막대한 자금에 대한 사정당국의 수사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환수위에 따르면 노소영 등 노태우 일가는 조선일보 이달 1일자 신문에 전면광고를 실었다. 광고에는 노태우 위인전기 만화책을 홍보하면서 노 전 대통령을 위인으로 포장하는 내용이 담겼다.

환수위는 “노태우 위인 만들기 사업에 적게는 수억 원에서 많게는 수십 억원의 자금이 들어간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이 사업에 사용되고 있는 자금은 참여하고 있는 인사들과 각종 행사 비용에 지출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또한 환수위는 지난달 25일 열린 '만화로 읽는 인물이야기, 대통령 노태우' 출판기념회에 사용된 비용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정치권에서는 ‘노태우 비자금’과 관련한 의혹이 이어지고 있다. 정청래 국회 법사위원장은 지난달 8일 노태우 일가의 은닉 자금은 김옥숙 여사의 904억원을 비롯해 차명으로 보관한 210억원 규모의 보험금, 동아시아문화센터 기부금 147억원 등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승원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지난달 24일 “노재헌 원장 측근의 명의로 설립된 네오트라이톤이 부동산 분양 및 임대 사업을 벌이고 있다”며 “이 회사가 운영되는 데 있어 비자금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환수위 측은 “국회를 비롯해 검찰과 국세청이 움직이지 않을 경우 검찰·국세청의 수사 고의지연에 대한 헌법재판소 집단 소원, 검찰·국세청사·국회 앞 시위 등 대대적인 국민운동을 전개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대법,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유죄 확정…권오수‧‘전주’ 징역형 집행유예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808,000
    • -1.03%
    • 이더리움
    • 2,702,000
    • -2.17%
    • 비트코인 캐시
    • 451,400
    • -1.74%
    • 리플
    • 3,036
    • -2.13%
    • 솔라나
    • 176,200
    • -4.6%
    • 에이다
    • 963
    • -3.41%
    • 이오스
    • 1,202
    • +0.92%
    • 트론
    • 350
    • -0.85%
    • 스텔라루멘
    • 388
    • -3.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780
    • -1.57%
    • 체인링크
    • 19,250
    • -4.75%
    • 샌드박스
    • 386
    • -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