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2개월 연속 1%대에 머물렀다. 다만, 소비자들이 저물가를 체감하긴 아직 이르다.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은 1.3%를 기록했다. 3년 4개월 만에 최저치이자 9월(1.6%)에 이어 2개월 연속 1%대 상승이다. 채소류 상승세 지속에도 과실을 중심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안정되고 석유류 가격이 내린 영향이다.
단, 상승률이 낮아진 게 실제 물가가 낮아졌음을 뜻하진 않는다. 2022~2023년 급등기를 거친 뒤 상승률만 둔화했을 뿐 여전히 오르고 있어서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69로 기준점인 2020년(100) 대비 14.7% 높다.
여기에 최근 2년간 평균 상승률은 여전히 안정 목표(2%)를 웃돈다. 2년간 평균 상승률이 안정 목표 이내로 들어오고, 소비자들이 실제 저물가를 체감하려면 현재 추세가 적어도 내년 말까지는 이어져야 한다.
관련 뉴스
특히 총지수 상승률과 무관하게 개인 서비스 물가는 상승률이 높다. 6월 2.7%에서 7월 2.9%로 오른 뒤 3% 안팎에 정체돼 있다. 외식으로 대표되는 개인 서비스 물가 상승은 1인 가구와 직장인들에게 상대적으로 충격이 크다.
임금도 변수다. 고용노동부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를 보면, 임금 구성항목 중 계절성·변동성이 작은 정액급여는 지난해 5월부터 증가율이 둔화하고 있다. 물가가 안정돼도 임금이 정체되면 임금근로자들은 저물가를 체감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