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인권 문제를 규탄하는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이 20일(현지시간) 20년 연속 채택됐다고 미국의 소리(VOA:보이스어브어메리카)가 보도했다.
유엔총회 제3위원회는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회의를 열고 한국 등 61개국이 공동 제안한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해 유엔 총회 본회의로 넘겼다.
사회, 인도주의, 문화적 문제를 다루는 제3위원회는 2005년부터 20년째 매년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해왔다.
위원 누구도 투표를 요청하지 않았다. 북한 등 일부 반대국들은 표결로 갈 경우 결의안에 대해 압도적인 찬성을 우려해 투표를 요청하지 않은 것이다. 이에 따라 표결 없이 만장일치로 채택됐다.
관련 뉴스
결의안 초안은 유럽연합이 작성했으며, 미국과 한국을 포함한 46개국이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했다. 이날 추가로 15개국이 동참하면서 총 61개국이 이름을 올렸다.
결의안에는 북한 정권이 자국민의 안위를 외면한 채 불법적인 핵무기와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 개발을 우선 시 하는 내용을 지탄하는 내용이 담겼다. 또 납치된 모든 사람들의 즉각적인 귀환을 요구했다.
중국과 러시아는 해당 결의안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고, 북한 유엔 대사인 김송은 소위 인권 문제가 북한에서는 존재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