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경제라인 윤곽…NEC 위원장에 해싯·USTR 대표에 그리어 발탁

입력 2024-11-27 15: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감세·관세 등 새 정부 핵심 경제 정책 주도
경제학자 해싯, 감세 통한 경제 성장 중시
그리어, 집권 1기 때 대중국 고율 관세 관여

▲케빈 해싯 당시 백악관 선임고문이 2020년 6월 19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이야기 하고 있다. 워싱턴D.C./AP연합뉴스
▲케빈 해싯 당시 백악관 선임고문이 2020년 6월 19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이야기 하고 있다. 워싱턴D.C./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과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에 각각 케빈 해싯 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과 제이미슨 그리어 전 USTR 대표 비서실장을 발탁했다. 대선 승리 이후 약 3주 만에 새 정부 장관 선임 작업을 마치고 남은 요직인 주요 경제라인까지 속속 퍼즐을 맞춰나가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자신의 경제 어젠다 대부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핵심 인사를 발표했다. 상원의 인준이 필요 없는 해싯은 트럼프 당선인의 감세 계획에 크게 관여하게 된다. 그리어는 상원의 인준을 받은 뒤 트럼프 정부의 광범위한 관세 정책을 주도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트럼프 당선인은 성명에서 “해싯은 인플레이션으로 타격을 입은 미국 가계를 회복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우리는 함께 기록적인 감세정책을 갱신하고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그리어에 대해서는 “막대한 무역수지 적자를 억제하고 미국의 제조업과 농업, 서비스업을 보호하며 전 세계 수출시장을 개방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악관 경제사령탑’인 NEC 위원장을 맡게 된 해싯은 감세를 통한 경제 성장 실현을 중시하는 소신론자로 알려져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코노미스트, 재무부 정책 고문, 싱크탱크 등을 거쳐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백악관 선임 경제 고문과 CEA 위원장을 지냈다. 일명 ‘트럼프 감세법’이라 알려진 2017년 감세 및 고용법의 설계와 통과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뒤를 이을 가장 유력한 후임 후보로 꼽혀온 인물이기도 하다.

▲제이미슨 그리어 전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비서실장. 출처 미·중 경제 안보 검토 위원회
▲제이미슨 그리어 전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비서실장. 출처 미·중 경제 안보 검토 위원회

‘무역 차르’ USTR 대표로 선임된 그리어는 통상법 전문 변호사로 현재 민간 로펌에 소속돼 있다. 트럼프 집권 1기 때 대중국 고율 관세 부과에 관여했던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당시 그는 관세를 무기로 한 보호무역주의 기조로 회귀를 주창해왔던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전 USTR 대표의 비서실장으로 중국과의 무역협상에서 최전선에 섰던 경험이 있다.

그리어는 트럼프 1기 때 미완에 그친 중국과의 무역전쟁을 끝맺음할 중책을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당선인은 전날 “취임 직후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펜타닐 문제를 해결할 때까지 10%의 관세를 더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리어와 USTR은 트럼프 당선인이 예고한 관세 폭탄의 실행부대가 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발 상호관세 충격에 코스피·코스닥 5%대 폭락
  • "테슬라는 어떡하라고?"…머스크, 트럼프에 반기 든 이유는 [이슈크래커]
  • 산불 재난 인니 영웅…은혜는 꼭 갚는 한국인 [해시태그]
  • 단독 대상웰라이프, 홈플러스 기업회생 한 달 만에 철수...건기식 매대도 빨간불
  • '고정이하자산' 5조 육박…4곳은 'NPL비율' 70% 넘었다[선 넘은 '신탁사 부실'上]①
  • ‘피의자 윤석열’ 동시다발 수사 밀려온다…재구속 가능성은
  • 국내 or 해외?…5월 연휴 가족여행, 어디로 떠날까 [데이터클립]
  • “탄핵 이슈 소멸, 오로지 美 영향” 환율, 33.7원 급등…“1500원 가능성은 열어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6,480,000
    • -4.52%
    • 이더리움
    • 2,300,000
    • -11.47%
    • 비트코인 캐시
    • 403,300
    • -7.77%
    • 리플
    • 2,783
    • -9.26%
    • 솔라나
    • 157,600
    • -7.46%
    • 에이다
    • 844
    • -8.95%
    • 이오스
    • 1,088
    • -4.81%
    • 트론
    • 339
    • -4.51%
    • 스텔라루멘
    • 340
    • -8.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920
    • -6.95%
    • 체인링크
    • 16,710
    • -8.24%
    • 샌드박스
    • 353
    • -5.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