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트럼프, 멕시코ㆍ캐나다 25% 관세계획 재고해야”

입력 2024-11-29 08: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추수감사절 맞아 소방서 방문
“역효과 낼 수 있다” 우려 발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영부인 질 바이든 여사와 함께 매사추세츠 낸터킷에 위치한 소방서를 방문해 호박 파이를 전달하면서 기자들과 얘기를 나누고 있다. 낸터킷(미국)/AF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영부인 질 바이든 여사와 함께 매사추세츠 낸터킷에 위치한 소방서를 방문해 호박 파이를 전달하면서 기자들과 얘기를 나누고 있다. 낸터킷(미국)/AF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하려는 계획에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바이든은 이날 추수감사절을 맞아 매사추세츠 낸터킷에 있는 소방서를 방문한 자리에서 기자들의 질의를 받고 “트럼프가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를 부과하려는 계획을 재고하기를 바란다”면서 “그것은 역효과를 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은 태평양, 대서양, 그리고 두 동맹국인 멕시코와 캐나다에 둘러싸여 있다”면서 “우리가 가장 하지 말아야 할 일은 그들과의 관계를 망치는 일이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당선인은 25일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내년 1월 20일 취임날 첫 행정명령 중 하나로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오는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물리는 데 필요한 모든 서류에 서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 마약, 특히 펜타닐 유입과 불법으로 국경을 넘는 이민자들을 제대로 단속할 때까지 이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수감사절에 무엇에 가장 감사하냐고 물은 질문에는 “약간의 행운으로 중동에서의 휴전을 위한 더 많은 진전을 이뤄냈다”고 답했다. 이스라엘과 레바논의 친이란 무장단체 헤즈볼라 간 일시 휴전안이 26일 전격 타결됐다. 이에 27일 오전 4시부터 60일간 양측의 공습과 교전이 중단된다.

바이든은 또 최근 중국에서 간첩·마약 혐의로 중국에 구금됐다고 풀려난 미국인 3명과 통화했다고 전했다. 그는 “그들이 집에 돌아와서 정말 기쁘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바이든은 자신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에 핫라인을, 양국의 군대 사이에도 직접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직접 라인을 개설했다고 알렸다.

그는 “시진핑에 대해서 내가 확신하는 한 가지는 그가 실수하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그는 무엇이 달려 있는지 상황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헌재 “경고성·호소형 계엄은 없다”…尹측 계엄 당위성 주장 콕 집어 배척
  • 尹파면 첫 주말…도심 곳곳에서 찬반집회
  • 좋아하는 야구팀, 우승 예상팀 모두 '기아 타이거즈' [데이터클립]
  • 돈벼락의 저주…외신이 바라본 복권 당첨 후 불행
  • 알리익스프레스 바짝 쫓는 테무…한국 시장 공략 속도전
  • 벚꽃 축제 본격 시작…부여서는 백제 유적 야간 개장 [주말N축제]
  • '로비'로 유쾌하게 돌아온 하정우…감독 하정우 표 블랙코미디는? [시네마천국]
  • 美 상호관세 부과는 초탄, 진짜 충격은 중국·EU 등 주요국 보복관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097,000
    • +0.26%
    • 이더리움
    • 2,654,000
    • +0.26%
    • 비트코인 캐시
    • 445,000
    • +0.11%
    • 리플
    • 3,174
    • +3.76%
    • 솔라나
    • 176,000
    • +2.68%
    • 에이다
    • 969
    • +1.89%
    • 이오스
    • 1,153
    • -2.21%
    • 트론
    • 350
    • -2.23%
    • 스텔라루멘
    • 378
    • -1.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390
    • +0.93%
    • 체인링크
    • 18,900
    • +0.8%
    • 샌드박스
    • 389
    • +0.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