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강달러에 1430원선 등락…美 CPI 발표 ‘주목’

입력 2024-12-11 15: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탄핵 대치 정국 장기화에 급락했던 증시가 급등하며 코스피 2410선, 코스닥 660선을 회복한 1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7.26(2.43%)포인트 상승한 2417.84를 코스닥 지수는 34.58(5.52%)포인트 상승한 661.59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427원을 나타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탄핵 대치 정국 장기화에 급락했던 증시가 급등하며 코스피 2410선, 코스닥 660선을 회복한 1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7.26(2.43%)포인트 상승한 2417.84를 코스닥 지수는 34.58(5.52%)포인트 상승한 661.59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종가 기준 1427원을 나타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원·달러 환율이 달러 강세에 1430원대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11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오후 종가(3시 30분) 기준으로 원·달러 환율은 1432.2원을 기록했다. 전날 오후 종가보다 5.3원 오른 수치다. 10일 익일 오전 2시 종가는 1432.8원이었다.

이날 환율은 1434.0원으로 거래를 시작해 1434.8원까지 고점을 높였다. 오후 3시 41분 현재 1431.9원에 거래 중이다.

지난달 말까지 1390원대 후반에서 등락하던 원·달러 환율은 이달 들어 1400원대에서 종가를 기록하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와 대통령 탄핵안 표결·불수용 등 정국 불안이 확산되면서 환율은 1430원선으로 레인지를 높였다.

여기에 달러 강세가 더해지면서 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와 해당 지표에 따른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달러 강세에 무게가 실렸다는 분석이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국내 정국 불안이 영향을 주고 있지만 미국 물가 지표가 발표될 예정이고, 물가 압력으로 연준의 금리 인하 사이클이 속도 조절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달러 강세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에 내수부진 장기화까지...韓경제 짓누른 'R의 공포'
  • 대법, ‘이재명 사건’ 직접 결론낼까…최근 파기자판율 0% 가까워
  • 금요일 조기 퇴근, 진짜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 "마라톤 뛰러 미국 간다"…러너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해외 마라톤 대회는 [데이터클립]
  • “군 간부입니다” 믿었다가…진화된 ‘조직적 노쇼’에 당했다 [해시태그]
  • 국민의힘 4강 ‘토론 대진표' 확정...한동훈-홍준표 3시간 끝장 토론
  • ‘입시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 원...법원 “원심판단 정당”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298,000
    • +0.98%
    • 이더리움
    • 2,587,000
    • +3.48%
    • 비트코인 캐시
    • 514,000
    • -0.68%
    • 리플
    • 3,190
    • +0.92%
    • 솔라나
    • 216,700
    • +2.51%
    • 에이다
    • 1,001
    • +4.27%
    • 이오스
    • 973
    • +1.99%
    • 트론
    • 354
    • -0.28%
    • 스텔라루멘
    • 384
    • +1.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160
    • +0.25%
    • 체인링크
    • 21,700
    • +8.45%
    • 샌드박스
    • 428
    • +2.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