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에이징’ K뷰티, 미국·일본 시장서 ‘프랑스산 화장품’ 제쳤다

입력 2025-01-05 09: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작년 화장품 수출, 첫 100억 달러 돌파…미국서 기초·일본서 색조 인기

▲서울 명동에 있는 화장품 로드숍 (연합뉴스)
▲서울 명동에 있는 화장품 로드숍 (연합뉴스)

K뷰티가 미국과 일본에서 샤넬과 랑콤과 같은 고급 브랜드를 보유한 프랑스산을 제치고 수입 1위로 올라선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작년 화장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20.6% 증가한 102억 달러(약 15조 원)로 집계됐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화장품 수출액이 100억 달러를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국제무역위원회 수입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1~10월) 미국의 한국 화장품 수입액은 14억517만 달러(2조633억 원)로 그동안 1위 자리를 지키던 프랑스(10억3215만 달러)를 제쳤다. 국가별 점유율은 한국이 22.2%로 프랑스(16.3%)를 5.9%포인트 앞섰다.

일본에서도 2022년에 이어 3년째 수입국 1위를 지키고 있다. 일본 수입화장품협회의 3분기 국가별 수입 실적에 따르면 한국이 941억9000만 엔(8787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프랑스가 822억8000만 엔으로 그 뒤를 이었다. 점유율은 한국이 28.8%, 프랑스가 25.1%로 나타났다.

미국과 일본이 수입하는 화장품 품목을 살펴보면 각각 기초화장품, 색조화장품의 인기가 높은 편이다.

관세청 무역통계의 2020년부터 지난해 11월까지 화장품 세부 항목별 수출액을 보면 5년간 미국에서는 기초화장품, 일본에서는 색조화장품이 각각 수출액 증가율이 높았다.

기초화장품의 대미(對美) 수출액은 2020년 2억3185만8000달러에서 지난해 8억1508만1000달러로 3.5배로 뛰었다. 같은 기간 색조화장품 수출액은 1억2396만1000달러에서 2억6778만8000달러로 2.2배로 증가했다.

일본의 경우 색조화장품 수출액은 2020년 1억9687만7000달러에서 지난해 3억1662만3000달러로 1.6배로 증가했고, 기초화장품 수출액은 2억170만6000달러에서 2억5835만2000달러로 1.3배로 늘었다.

미국에서 다양한 기능을 하나로 합친 올인원(All in One) 제품군) 제품을 주로 사용했지만 최근 안티에이징(노화 방지) 등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한국산 피부관리 제품 수요가 늘었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또 일본에서는 K팝 아이돌의 인기에 힘입어 MZ세대를 중심으로 색조 화장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금개혁 2차전…'자동조정장치' vs. '국고투입'
  • 6·3 대선 앞두고, 대선 후보 욕설 영상...딥페이크 '주의보'
  • 에코레더가 친환경? 공정위 경고받은 무신사, ‘그린워싱’ 가이드라인 발간
  • 이정후, 양키스전서 또 2루타…신바람 난 방망이 '미스터 LEE루타'
  • 한숨 돌린 삼성전자, 美 상호관세 부과에 스마트폰 제외
  • 불성실공시 '경고장' 받은 기업 17% 증가…투자자 주의보
  • 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 집중 탐사…땅 꺼짐·붕괴 예방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171,000
    • -0.76%
    • 이더리움
    • 2,317,000
    • -3.5%
    • 비트코인 캐시
    • 498,700
    • -1.93%
    • 리플
    • 3,143
    • +0.58%
    • 솔라나
    • 188,200
    • -0.79%
    • 에이다
    • 941
    • -1.57%
    • 이오스
    • 909
    • -9.19%
    • 트론
    • 366
    • +1.1%
    • 스텔라루멘
    • 356
    • -1.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840
    • -3.35%
    • 체인링크
    • 18,510
    • -2.78%
    • 샌드박스
    • 379
    • -3.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