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불 꺼진 새 아파트가 확대될 전망이다. 대출 장벽이 높아진 데다 경기 침체 우려, 정치적 불확실성 등이 겹치면서 입주율이 떨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14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전월보다 20.2포인트(p) 하락한 68.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년 만에 최저치다.
수도권은 72로 18.6p 떨어졌다. 서울(100.0→88.0)과 인천(86.2→64.2), 경기(85.7→63.8)가 모두 크게 하락했다.
광역시는 24.1p 내린 66.1을 기록했다. 울산(92.8→61.1), 대구(95.6→68.0), 대전(88.2→61.1), 광주(80.0→58.8), 부산(85.0→69.5) 등 광역시 전체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도 지역은 18p 하락한 68.6으로 집계됐다. 충북(75.0→81.8)과 충남(73.3→80.0), 제주(75.0→78.9)를 제외하고 모두 지수가 낮아졌다. 전남(91.6→37.5)의 낙폭이 가장 컸고 이어 경북(100.0→60.0), 경남(100→70.5), 세종(100→78.5), 전북(90.9→71.4), 강원(87.5→69.2) 순이다.
주산연은 "강도 높은 대출 규제로 매수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경기침체 우려와 탄핵 정국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라며 "빠르게 위축되고 있는 주택시장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시의적절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12월 입주율은 69.7%로 전월보다 0.7%p 상승했다. 수도권은 82.3%에서 79.9%로 하락했다. 서울(82.5%→81.4%)과 인천·경기(82.3%→79.1%)가 모두 떨어졌다. 서울에서도 계약 포기 물량이 속출하고 준공 후 미분양이 1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불안요소가 심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5대 광역시는 69.6%에서 67.8%로 하락했고 도 지역은 63.7%에서 67.2%로 상승했다.
미입주원인으로는 잔금대출 미확보와 기존주택매각 지연이 각각 34%, 32.1%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세입자 미확보와 분양권 매도 지연은 17%, 9.4%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