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극한기후'로 작업 중지한 건설근로자 소득 보전해준다

입력 2025-02-02 11: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안심 수당 지급개요. (자료제공=서울시)
▲안심 수당 지급개요. (자료제공=서울시)

서울시가 한파·강설·폭염·강우·미세먼지 등 극한기후를 대비한 국내 유일 건설약자 보호 정책을 펼친다.

서울시는 이달부터 서울시 발주 공공 공사장에서 일하는 일용직 건설 근로자가 극한기후로 인해 작업을 하지 못한 경우 서울시 생활임금 범위 내 소득을 보전(일 최대 4시간)하는 '안심수당'을 지급한다고 2일 밝혔다.

일용직 건설근로자는 최일선 현장에서 건설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으나 최근 건설경기 악화로 일감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극한기후로 인한 작업 중지로 절대 근로일수 부족과 낮은 소득수준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최근 급변하는 이상기후의 일상화로 근로 의지와 무관하게 작업 중지 기간이 더욱 증가해 일용직 건설근로자에게 깊은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안심수당은 서울시가 발주한 사업비 5000만 원 이상의 공공 건설현장에서 월 8일 이상 일한 일용직 건설근로자 중 소득이 서울시 생활임금(246만1811원, 올해 기준) 이하인 저임금 내국인 근로자에게 지급된다.

열악한 근로환경으로 건설현장이 고령화되고 미숙련 외국인 근로자가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로 인한 건설업 생산기반 붕괴 우려 등을 해소하기 위해 지원 대상을 저임금 내국인 일용직 건설근로자로 한정했다.

일례로 공공 공사장에서 일당 17만 원을 받는 근로자가 12일 근로하고 극한기후로 인한 작업 중지 기간이 5일일 경우 월 소득 204만 원에 일 최대 4시간까지 지급하는 안심수당 42만 원을 더해 총 246만 원의 임금을 받게 된다. 수당은 건설사가 매월 근로자에게 우선 지급하면 향후 서울시가 보전해 준다.

단 근무 공사장이 △서울시 건설 일용근로자 표준계약서 사용 △전자카드제에 따른 단말기 설치 및 전자카드 발급 △서울시 건설정보관리시스템(One-PMIS) 사용 등을 준수할 경우에만 지원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매년 안심수당을 통해 생활임금 이하 근로자 2000여 명이 혜택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울러 근로자에게 안정적 근로 환경을 제공해 저소득층 생활기반을 확보함으로써 숙련 기능인 양성을 통한 공사 능률향상, 안전 강화, 품질향상 등 건설산업 체질 개선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김승원 서울시 건설기술정책관은 “현장에서 일하는 가장 취약한 계층인 비정규직 일용직 건설근로자들이 최근 급변하는 이상기후의 일상화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최일선 현장에서 적극적 근로 의지를 가지고 일하는 근로자들의 소득이 보장되고 건설산업의 근간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건설 일자리가 될 수 있도록 건설 약자와의 동행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기 무역전쟁 시작됐다...“삼성 등 압박·미국도 다친다”
  • "이 감성 못 잃어"…젠지 선택받은 브랜드들의 정체 [솔드아웃]
  • '나솔사계' 미스터 박, 환승이별 의혹 부인…"여자친구 잘못 없어, 나만 조롱해"
  • 카나나 공개 앞둔 카카오, AI 늦깎이 꼬리표 뗄까
  • 트럼프 열기 식어…1월 국내 가상자산 거래대금 30%↓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연 1조 ‘테이블오더’ 시장 출사표
  • SK하이닉스 시총 16조 증발…딥시크 충격 언제까지
  • 커지는 딥시크發 ‘엔비디아’ 회의론…韓 AI 팹리스에도 기회 열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1.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5,700,000
    • -0.48%
    • 이더리움
    • 4,830,000
    • -3.82%
    • 비트코인 캐시
    • 621,000
    • -4.83%
    • 리플
    • 4,488
    • -3.28%
    • 솔라나
    • 330,800
    • -6.24%
    • 에이다
    • 1,373
    • -4.45%
    • 이오스
    • 1,133
    • -7.74%
    • 트론
    • 378
    • -3.57%
    • 스텔라루멘
    • 604
    • -4.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950
    • -4.95%
    • 체인링크
    • 35,400
    • -8.5%
    • 샌드박스
    • 743
    • -7.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