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글로벌, 지난해 수주액 4조2000억 달성…“외연 확장 가속”

입력 2025-02-13 13: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오롱글로벌 과천 사옥 전경. (사진제공=코오롱글로벌)
▲코오롱글로벌 과천 사옥 전경. (사진제공=코오롱글로벌)

코오롱글로벌은 지난해 건설 부문에서 신규 수주 4조 원을 돌파하면서 역대 최고 수주실적을 달성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해 코오롱글로벌은 건설 경기 불황 속에서도 수주 성과를 대폭 확대했다. 건축 부문 약 2조3000억 원, 인프라 부문 1조9000억 원 등 총 4조2000억 원 규모를 신규 수주했다. 이는 전년 대비 1조 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지난 2022년 세운 최고 수주액 3조6569억 원도 넘어섰다.

특히 코오롱글로벌은 지난해 1168억 원 규모 부산 하단1구역 마수걸이 수주를 시작으로 도시정비 부문에서만 총 6657억 원의 수주 실적을 쌓았다. 또 서울시 모아타운 1호 사업장인 번동 1~10구역(2060가구)을 시작으로 면목역 3의1~3구역(702가구), 천호 1~2구역(385가구) 등 모아타운 사업도 추진하면서 서울시 내 하늘채 브랜드타운을 확장하고 있다.

산업건설(민간건축 및 플랜트) 등 비주택 부문도 강화했다. 지난해 대한항공 신엔진정비공장, 머크 바이오시설 공사, 정읍바이오매스 발전소 공사 등 비주택 부문에서 2조3000억 원 이상 수주했다. 지난 2021년 8000억 원 수준이었던 비주택 부문 신규 수주 규모와 비교하면 3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신규 수주에 힘입어 코오롱글로벌의 수주 잔고 역시 최고 기록을 세웠다. 코오롱글로벌의 수주 잔고는 13조8000억 원 수준으로 전년 매출액 기준 5년 치 이상의 일감을 확보했다.

신규 수주 호조, 비주택 강화 등의 영향으로 조직 효율화 및 채용 확대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12월 코오롱글로벌은 수주경쟁력 제고에 중점을 두고 하이테크사업실을 신설하고 산업건설 수주와 공사관리 기능을 강화했다.

코오롱글로벌은 민간, 기업, 공공 등 발주처별 성격에 맞춰 조직을 세분화해 정교한 수주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코오롱글로벌 관계자는 “지난해 힘든 여건 속에서도 도시정비, 비주택 등 다양한 부문에서 양질의 신규 수주를 이뤄냈다”며 “역대 최대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매출 확보 및 지속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문수, 의총서 큰절...“더 넓게 품지 못한 점 사과드려”
  • '뽀빠이' 故 이상용, 영정 속 환한 미소⋯10일 빈소 마련 '향년 81세'
  • 추락하는 韓경제...올해 1분기 성장률 주요 19개국 중 꼴찌
  • ‘디플레 수렁’ 빠진 중국…4월 CPI, 3개월째 마이너스
  • '코리아 타이거' 이정영, UFC 315 페더급 경기서 판정패
  • '도원이영' 커플 탄생에 '언슬전' 최고 시청률 돌파…'슬의생' 넘을까?
  • '상승 vs 하락'…서학개미, '우왕좌왕' 장세 심화
  • 완봉승 앞두고…교체된 와이스, 완벽투로 한화 12연승 합작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686,000
    • +0.58%
    • 이더리움
    • 3,493,000
    • +3.19%
    • 비트코인 캐시
    • 576,500
    • -1.96%
    • 리플
    • 3,308
    • -1.9%
    • 솔라나
    • 243,100
    • +1.46%
    • 에이다
    • 1,119
    • -0.27%
    • 이오스
    • 1,268
    • -5.3%
    • 트론
    • 367
    • -0.54%
    • 스텔라루멘
    • 426
    • +0.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400
    • -0.93%
    • 체인링크
    • 23,160
    • +0.74%
    • 샌드박스
    • 494
    • +2.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