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어붙은 전국 주택시장… 매수심리 여전히 ‘꽁꽁’

입력 2025-02-17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전국, 수도권) (자료제공=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전국, 수도권) (자료제공=국토연구원)
대출 규제와 정국 불안이 지속되며 전국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졌다. 지난달 들어 지수가 소폭 회복했으나 위축된 매수세에 주택 경기 침체 우려는 여전한 상황이다.

17일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98.3으로 전월(96.5) 대비 1.8포인트(p) 상승했다. 수도권(100.5)은 2.9포인트, 비수도권(96.2)은 0.9포인트 만큼 내리며 보합국면을 유지했다.

주택 매매와 전세 시장의 소비자심리지수(100.2)는 지난해 12월(98.0)보다 2.2포인트 올랐다. 수도권(102.0)은 전월 대비 3.1포인트 상향 조정됐고, 98.1을 기록한 비수도권도 1.2포인트 높아졌다.

같은 기간 주택 매매시장만 보면 소비심리지수가 더 높았다. 전국 기준 103.0)로 전월(100.8) 대비 2.2포인트 상승하며 보합 국면을 이어갔다. 수도권(105.9)과 비수도권(99.6)은 각각 전월(102.4, 98.8)과 비교할 때 3.5포인트와 0.8포인트 올랐다.

전국 주택 전세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95.3) 대비 2.1포인트 높아진 97.4로 집계됐다. 수도권(98.0)은 전월(95.4) 대비 2.6포인트 올랐고, 비수도권(96.7) 또한 1.7포인트 상승하며 보합세를 보였다.

고하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주택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지난해 10월부터 3개월간 연속으로 하락했으며 지난해 12월에는 100을 밑돌았다”며 “집값이 오른다거나 거래가 증가할 것으로 생각하는 이들이 줄었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황 이름이 '스포일러'라고?…콘클라베에 담길 '신념의 무게' [이슈크래커]
  • HBM 동맹의 균열… SK하이닉스와 한미반도체에 무슨 일이 [ET의 칩스토리]
  • 미국 부유층까지 동요…“금융위기·코로나 때처럼 전화 문의 폭주”
  • "600만 원 결제했는데 환불 거부"…늘어나는 온라인 게임 소비자 피해 [데이터클립]
  • 단독 환경부, 9월부터 전직원 챗GPT 도입…'기재부版'과 차별화
  • 공정위 'LTV 담합' 과징금 폭탄 예고에…4대 은행 대책 마련 분주
  • 모은 돈이 세력?…이재명·한동훈, 후원금도 경쟁 붙은 2025 대선 [해시태그]
  • “흰 연기를 기다리며”…교황 선종 이후, 콘클라베의 시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631,000
    • +2.53%
    • 이더리움
    • 2,363,000
    • +1.03%
    • 비트코인 캐시
    • 503,500
    • +1.99%
    • 리플
    • 3,048
    • -0.13%
    • 솔라나
    • 206,400
    • +3.41%
    • 에이다
    • 935
    • +0.86%
    • 이오스
    • 915
    • -2.14%
    • 트론
    • 353
    • +1.15%
    • 스텔라루멘
    • 364
    • -2.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570
    • +1.24%
    • 체인링크
    • 19,540
    • +0.88%
    • 샌드박스
    • 405
    • +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