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건설경기 회복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올해 공공기관 역대 최대 수준인 19조1000억 원 규모로 공사·용역 신규 발주를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LH에 따르면 이번 신규 발주 규모는 역대 최대규모였던 지난해 발주 실적 17조8000억 원보다 1조3000억 원 늘어난 수준이다. 유형별로는 공사 17조8000억 원(787건)과 용역 1조3000억 원(663건) 수준이다.
이번 발주계획에서 주택 수요가 집중된 수도권 비중은 전체의 69% (약 13조2000억 원) 수준이다. 그중 남양주왕숙1·2(9969억 원), 인천계양(7905억 원), 하남교산(4505억 원) 등 3기 신도시 비중은 약 3조5000억 원으로 전체 예산 중 18% 규모에 달한다. 이 밖에 약 2조4000억 원 규모 용인 국가산단 조성 공사 발주도 예정돼 있다.
투자집행 시기도 앞당긴다. LH는 정부의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한 조기 투자집행 기조에 맞춰 1분기에는 연간 발주 물량의 23%를, 상반기에는 누적 약 59% 수준의 발주를 추진할 계획이다.
관련 뉴스
LH는 공공주택 착공 6만 가구 목표를 달성을 위해 전체 발주계획 중 약 12조6000억 원(전체 65% 수준)을 건축공사와 아파트 부대공사 등에 편성했다. 용역에서도 공공주택 사업과 관련한 기술용역 발주에 약 1조2000억 원(전체 용역 발주의 90%)을 편성했다.
발주계획을 심사유형별로 살펴보면 종합심사낙찰제(간이종심제 포함) 12조5000억 원(288건), 적격심사 2조9000억 원(941건), 기타 3조7000억 원(221건) 규모다.
LH는 역대 최대규모 발주인 만큼 발주계획을 신속하게 이행해 침체된 건설경기 회복을 이끄는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방침이다.
건설업계 관심이 높은 주요 아파트 대형공사 발주 일정은 월별·분기별로 자세히 관리하는 한편, 하반기 주요 공사 일정은 변동사항을 반영해 상시 재공지하는 등 건설업체의 지속적인 입찰 참여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한준 LH 사장은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로 주택시장 변동성 확대 우려와 함께 공급 여건 악화 시 수급 불균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며 “차질 없는 3기 신도시 추진과 주택공급 목표 달성을 위해 역대 최대규모의 발주 물량을 편성한 만큼, 속도감 있게 집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