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올해 건설경기 회복 위한 19조 규모 공사·용역 발주…“역대 최대”

입력 2025-02-24 09: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5년 LH 공종별 발주 계획. (사진제공=LH)
▲2025년 LH 공종별 발주 계획. (사진제공=LH)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건설경기 회복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올해 공공기관 역대 최대 수준인 19조1000억 원 규모로 공사·용역 신규 발주를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LH에 따르면 이번 신규 발주 규모는 역대 최대규모였던 지난해 발주 실적 17조8000억 원보다 1조3000억 원 늘어난 수준이다. 유형별로는 공사 17조8000억 원(787건)과 용역 1조3000억 원(663건) 수준이다.

이번 발주계획에서 주택 수요가 집중된 수도권 비중은 전체의 69% (약 13조2000억 원) 수준이다. 그중 남양주왕숙1·2(9969억 원), 인천계양(7905억 원), 하남교산(4505억 원) 등 3기 신도시 비중은 약 3조5000억 원으로 전체 예산 중 18% 규모에 달한다. 이 밖에 약 2조4000억 원 규모 용인 국가산단 조성 공사 발주도 예정돼 있다.

투자집행 시기도 앞당긴다. LH는 정부의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한 조기 투자집행 기조에 맞춰 1분기에는 연간 발주 물량의 23%를, 상반기에는 누적 약 59% 수준의 발주를 추진할 계획이다.

LH는 공공주택 착공 6만 가구 목표를 달성을 위해 전체 발주계획 중 약 12조6000억 원(전체 65% 수준)을 건축공사와 아파트 부대공사 등에 편성했다. 용역에서도 공공주택 사업과 관련한 기술용역 발주에 약 1조2000억 원(전체 용역 발주의 90%)을 편성했다.

발주계획을 심사유형별로 살펴보면 종합심사낙찰제(간이종심제 포함) 12조5000억 원(288건), 적격심사 2조9000억 원(941건), 기타 3조7000억 원(221건) 규모다.

LH는 역대 최대규모 발주인 만큼 발주계획을 신속하게 이행해 침체된 건설경기 회복을 이끄는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방침이다.

건설업계 관심이 높은 주요 아파트 대형공사 발주 일정은 월별·분기별로 자세히 관리하는 한편, 하반기 주요 공사 일정은 변동사항을 반영해 상시 재공지하는 등 건설업체의 지속적인 입찰 참여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한준 LH 사장은 “대내외 불확실성 증가로 주택시장 변동성 확대 우려와 함께 공급 여건 악화 시 수급 불균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상황”이라며 “차질 없는 3기 신도시 추진과 주택공급 목표 달성을 위해 역대 최대규모의 발주 물량을 편성한 만큼, 속도감 있게 집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LH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충격의 바이비트 해킹 사태…비트코인, 9만6000달러 선으로 후퇴 [Bit코인]
  • 고물가에 싼 것만 찾는다…유통가 ‘초저가’ 전성시대[韓 과소소비사회 진입하나]
  • “불황 모르는 덕후 소비”…덕분에 웃는 홍대·용산 복합몰[르포]
  • [우크라 전쟁 발발 3년] 종전협상 ‘중대 분수령’...우크라 운명 어디로
  • 현대차 관세 위기에 떠오르는 ‘GM 동맹’…새로운 돌파구 될까
  • 미루는 취업·결혼·출산…미뤄진 경제 성장[청년, 모라토리엄을 외치다]
  • 金투자 열풍에 품귀 현상까지…'RWA·디파이' 거래량도↑
  • 임영웅, 2월 '트로트가수 브랜드평판' 1위…2위 박지현·3위 이찬원
  • 오늘의 상승종목

  • 02.24 12:3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9,217,000
    • -2.13%
    • 이더리움
    • 3,981,000
    • -2.07%
    • 비트코인 캐시
    • 465,300
    • -2.8%
    • 리플
    • 3,636
    • -3.4%
    • 솔라나
    • 234,700
    • -6.79%
    • 에이다
    • 1,082
    • -4.67%
    • 이오스
    • 906
    • -4.33%
    • 트론
    • 354
    • -0.56%
    • 스텔라루멘
    • 470
    • -3.6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150
    • -4.92%
    • 체인링크
    • 24,630
    • -6.35%
    • 샌드박스
    • 488
    • -6.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