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한미 협력 모델 'SMR-300' 1호기 짓는다

입력 2025-02-27 09: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이사(오른쪽)와 크리스 싱 홀텍 회장(왼쪽)이 25일(현지시간) 미국 팰리세이즈 원자력발전단지에서 확장 협력 합의서에 서명한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건설)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이사(오른쪽)와 크리스 싱 홀텍 회장(왼쪽)이 25일(현지시간) 미국 팰리세이즈 원자력발전단지에서 확장 협력 합의서에 서명한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건설)

현대건설이 한미 에너지 동맹에 기반한 SMR-300 모델 상용화에 착수하며 에너지 전환사업을 가속한다.

현대건설은 25일(현재시간) 홀텍과 미국 팰리세이즈 원자력발전단지 내 SMR 부지에서 'Mission 2030'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올 연말 착공을 앞둔 '팰리세이즈 SMR-300 FOAK 프로젝트'의 순항을 알리는 동시에 2030년 상업운전 목표 달성을 위한 토대를 다지고자 마련됐다.

팰리세이즈 SMR-300 FOAK 프로젝트는 미국 시카고에서 북동쪽으로 약 120km 떨어진 미시간주 코버트에 있는 팰리세이즈 원자력발전단지에 300MW급 SMR 2기를 신설하는 사업이다.

해당 부지는 홀텍이 보유한 원전 사업지 내에 있으며 지난해 2월 건설부지를 선정한 이후 지반·지질조사, 환경영향평가를 비롯한 현장 맞춤 설계를 수행하고 있다. 올해 2분기 이내에 설계를 완료하고 연말께 착공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는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이사와 크리스 싱 홀텍 회장 등 양사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으며 확장 협력 합의서를 체결했다.

합의서에는 글로벌 에너지 수요 급증에 따라 300MW급 SMR로 원전 용량을 확대하는 개정합의와 함께 △북미 시장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의 사업 협력 △프로젝트 매니지먼트를 위한 공동 조직 운영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이를 계기로 현대건설은 홀텍이 추진하는 SMR 사업에 대한 독점권을 전 세계 시장으로 확대했으며 홀텍과 공동으로 이번 사업을 운영·관리하는 별도의 합작법인을 설립해 팰리세이즈 SMR-300 FOAK 사업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이 대표는 "2022년 미국에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미국 전력 프로젝트와 SMR-300 기술에 대한 다각적인 투자를 진행해왔다"며 "미국 정부, 현지 기업과 긴밀히 협력해 체계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고 지역민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글로벌 SMR 산업의 신기원을 열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로야구 역대 최다기록 모음집…연승과 연패, 그리고 천적 [그래픽 스토리]
  •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수업참여율 26% 저조
  •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수업참여율 26% 저조
  • 다음 주 尹 법정 모습 공개된다…법원, 공판 촬영 허가
  • 감사원 “文 정부, 통계청·부동산원 압박해 수치 수정·왜곡 지시”
  • 트럼프 ‘관세 협상’ 깜짝 등판…일본 첫 단추부터 ‘주도권’ 뺏겨
  • “대중교통 이용도 쉽지 않으니까요”…‘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 이용하려면 [경제한줌]
  • [세계의 창] 푸틴, 해군 핵무기 현대화 완료 선언...전문가 의견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172,000
    • +0.22%
    • 이더리움
    • 2,310,000
    • +0.61%
    • 비트코인 캐시
    • 477,800
    • +2.05%
    • 리플
    • 3,031
    • +0.8%
    • 솔라나
    • 193,000
    • +6.04%
    • 에이다
    • 891
    • +0.68%
    • 이오스
    • 886
    • -1.01%
    • 트론
    • 354
    • -4.32%
    • 스텔라루멘
    • 344
    • +0.8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380
    • +0.07%
    • 체인링크
    • 18,030
    • +1.41%
    • 샌드박스
    • 358
    • -0.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