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장려금 1억' 이중근 부영 회장, 저출산위 감사패 받아

입력 2025-02-27 17: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왼쪽)이 27일 서울 중구 부영그룹 본사에서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으로부터 감사패를 받고 있다. (사진제공=부영)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왼쪽)이 27일 서울 중구 부영그룹 본사에서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으로부터 감사패를 받고 있다. (사진제공=부영)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이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로부터 감사패를 받았다. 출산장려금 1억 원 지급과 노인 연령 75세 상향 조정 제안 등 우리 사회가 당면한 저출생·고령화 문제 해결에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부영그룹은 27일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이 서울 중구 부영그룹 본사를 방문해 '출산장려금 제도를 통해 저출생 반전 추세에 기여한 공로'로 이 회장에게 감사패를 수여했다고 밝혔다.

주 부위원장은 "저출생과 고령화란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 해결을 위해 기업이 가야 할 길을 앞장서 열어줬다"며 "탄생을 환영하고 어르신을 보듬는 이 회장의 깊은 뜻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든든한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지난해 저출생 해결이 실마리로 출산 직원 자녀 1인당 1억 원의 출산장려금을 지급해 화제가 됐다. 지난해 시무식에서 2021~2023년까지 출생한 직원 자녀 70명, 올해 시무식에서 지난해 출생한 직원 자녀 28명 등 현재까지 약 100억 원의 출산장려금을 지급했다.

이 회장은 지난해 출산장려금 제도를 발표하면서 출산장려금 기부 면세 제도 방안도 제시했다. 정부와 국회가 이에 화답하면서 기업 출산장려금에 대해 전액 비과세로 세법을 개정했다. 이는 다른 기업에서도 출산 지원 제도를 잇달아 발표하는 마중물이 됐다.

이 회장은 지난해 제19대 대한노인학회장으로 취임하면서 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한 노인 연력 상향 제도도 제안했다. 노인 연령을 75세로 단계적으로 상향해 노인의 숫자를 줄이면서 총 노인 수를 2050년에도 1200만 명 정도로 유지하자는 내용이다.

아울러 이 회장은 현재 대부분 노인이 요양원에서 쓸쓸히 임종을 맞고 있다며 재가 임종제도를 제안했다. 노인들이 집에서 사랑하는 가족의 손을 잡고 임종할 수 있게 재가 간병인·도우미 등에 예산을 지원 하자는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동탄은 올랐고 파주는 멈췄다...아파트값 뜯어보니 ‘수혜지’ 희비 갈려 [GTX A, 개통 1주년 ②]
  • 대선 앞두고 재점화되는 토큰증권(STO)…업계는 '기대 반, 걱정 반'
  • 삼성전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투자 '올인'
  • '나는 솔로' 25기 영철, "스킨십에 관대하냐"…손잡기 유도에 현숙은 불편 "마음 많이 없어져"
  • 뮌헨과 레알이 탈락?…챔스 4강 대진표 완성
  • '골 때리는 그녀들' 한국, 일본에 3-2 승리…박지안 역전골 '한일전 리벤지' 완벽 성공
  • 부산 강서구 경찰사격장 총기 오발 사고…20대 경찰 끝내 사망
  • 트럼프發 오락가락 관세에 미국도 혼란…잇따르는 ‘사재기 대란’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056,000
    • -0.16%
    • 이더리움
    • 2,288,000
    • -1.46%
    • 비트코인 캐시
    • 467,700
    • +0.36%
    • 리플
    • 3,019
    • -1.05%
    • 솔라나
    • 190,000
    • +2.93%
    • 에이다
    • 884
    • -0.56%
    • 이오스
    • 867
    • +1.05%
    • 트론
    • 359
    • -2.18%
    • 스텔라루멘
    • 341
    • -0.8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860
    • -0.75%
    • 체인링크
    • 17,920
    • +0.17%
    • 샌드박스
    • 353
    • -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