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3일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와 관련해 "자동차 등 미 정부의 관세 부과로 영향을 받을 업종과 기업에 대한 긴급 지원 대책을 범정부 차원에서 조속히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와 관련해 '긴급 경제안보전략 TF(태스크포스) 회의'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긴급 경제안보전략 TF는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직후 우리 정부의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그간 경제부총리가 주재해온 대외경제현안간담회를 격상한 회의로 미국의 통상 정책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가동된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34%, 유럽연합(EU) 20%, 영국 1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등이 적용됐다. 한국은 일본, 유럽연합 등보다 높은 상호관세율이 부과됐다.
한 대행은 이같은 내용의 상호관세 주요 내용을 보고 받고 "글로벌 관세전쟁이 현실로 다가온 매우 엄중한 상황"이라며 "통상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가 가진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 뉴스
이에 안덕근 산업부 장관에게 "기업과 함께 오늘 발표된 상호관세의 상세 내용과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지금부터 본격적인 협상의 장이 열리는 만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미협상에 적극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정부는 TF 회의 직후 경제부총리 주재로 '거시경제 금융현안 간담회'를 열고 이번 관세 조치에 따른 금융‧외환시장 영향을 점검한다. 11시 30분에는 산업부 장관 주재로 '민관합동 미 관세조치 대책회의'를 개최해 대미 아웃리치(대외 협력) 등 업계와의 공동 대응 전략을 논의한다.
오후에는 한 대행 주재로 주요 기업 등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제3차 경제안보전략 TF' 회의를 개최해 대응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회의에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안덕근 산업부 장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박성택 산업부 1차관, 김홍균 외교부 1차관, 남형기 국조실 국무2차장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