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發 관세폭탄, 동북아 3국 공동 대응·내수경제 전환으로 협상력 높여야”

입력 2025-04-03 10: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한국시간) 오전 미국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를 설명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한국시간) 오전 미국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를 설명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 관세 정책을 발표하며 한국에 25%의 관세 부과를 결정한 가운데 박상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는 “한국, 일본, 중국까지 동북아 3국의 공동 대응, 내수 중심의 경제 구조 전환 등을 통해 미국을 상대로 한 협상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3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트럼프가 이번에 상호 관세 매긴 것을 보면 규모가 큰 나라들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약한 모습을 보여줬다”며 “보복 관세도 하나의 협상 카드가 될 수 있겠지만, 동북아 3국의 공동 대응을 하고 나아가서 유럽연합(EU)하고도 공동 대응을 해 협상력을 끌어올리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가 보복 관세 카드보다는 다른 나라들과의 공동 대응에 더 주목한 것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강약약강’적인 면모가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전 블룸버그에서 예상한 수치와 비교하면 중국, EU 등 규모가 있는 국가들에겐 더 적게, 한국, 일본 등 규모가 작은 국가들에겐 더 많은 관세 부과를 결정했다.

공동 대응을 통해 덩치를 키워 미국과의 협상에 나서면 좀 더 경쟁력 있는 협상을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이유다.

이외에도 관세 대응을 위한 내수 중심의 경제 구조 전환을 위해 조세 정책의 변화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출 의존도가 굉장히 높은데, 조세 정책부터 수출 잘하는 기업에 보조금 주고 세금을 깎아주는 정책들이 지속될 필요가 있느냐는 생각을 해볼 필요가 있다”며 “내수를 더 중심으로 하는 정책 전환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3일(한국시간) 오전 미국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진행한 연설에서 상호 관세 방침을 전격 발표했다. 미국이 받는 차별을 해소한다는 명목으로 시행하는 이번 상호관세는 기본관세 10%와 이른바 ‘미국을 이용한 나쁜 국가’에 대한 개별 관세로 구성됐다.

한국 역시 기본관세 이상의 상호관세가 부과됐는데, 기존 블룸버그 등의 예상치였던 16~20%보다 높은 25% 관세가 결정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팬심도 쌓고 자산도 쌓고…최애 ‘덕질통장’으로 즐겁게 저금해볼까 [경제한줌]
  • '아아'의 계절이 온다…2025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 비교 "가장 싼 곳은?" [그래픽 스토리]
  • 우크라이나의 숨은 저격수…러시아 본토 흔드는 에이태큼스의 위력 [리썰웨폰]
  • [글로벌마켓 모닝 브리핑] 숨고르기 장세…기술주는 강세 지속
  • 1분기 실적보니…유한·녹십자·대웅 ‘선방’, 종근당·한미 ‘아쉬워’
  • 푸틴·젤렌스키 직접 대면 불발⋯러, 협상단장에 대통령 보좌관 지명
  • 단독 홍준표 “‘국민의 힘에서’ 은퇴한 것…대선 끝나면 복귀”
  • ‘골때녀’ 원더우먼, 월클에 이어 스밍파에도 3-0 승리...마시마·우희진 활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079,000
    • -1.04%
    • 이더리움
    • 3,590,000
    • -2.39%
    • 비트코인 캐시
    • 555,000
    • -2.55%
    • 리플
    • 3,500
    • -4.76%
    • 솔라나
    • 241,900
    • -4.76%
    • 에이다
    • 1,092
    • -5.29%
    • 이오스
    • 1,091
    • -10.21%
    • 트론
    • 381
    • -1.04%
    • 스텔라루멘
    • 420
    • -5.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100
    • -6.04%
    • 체인링크
    • 23,050
    • -4.16%
    • 샌드박스
    • 471
    • -8.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