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폭탄' 최악은 피했지만…철강업계, "안심하긴 이르다" [美 상호관세 쇼크]

입력 2025-04-03 11: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워싱턴D.C./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워싱턴D.C./AFP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26%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힌 가운데 이번 대상에서 제외된 철강업계는 '최악은 피했다'며 안도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미국 전략산업 보호와 정치적 목적에 의해 상호관세 대상에서 빠진 만큼 불확실성은 여전해 안심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철강사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이후 내부 긴급 회의를 소집하는 등 시장에 미칠 여파와 대응 방안 검토에 들어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6% 상호관세가 부과된다고 발표했다. 국가별 상호 관세율은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7% 등이다. 다만, 지난달 25% 관세가 확정된 철강·알루미늄과 자동차를 관세 부과 품목에서 제외했다.

철강업계에서는 25% 개별 관세 외에 이중으로 맞게 되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며 한숨 돌린 분위기다.

다만 높은 불확실성 탓에 여전히 불안함이 역력한 모습이다. 기존 무역확장법 232조로 인해 미국 수출이 여전히 어려운 데다 철강과 알루미늄은 이미 25% 관세가 적용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국산에 적용해왔던 면세 쿼터도 폐지됐다. 이들 국내 주력 수출품목에 대한 관세는 가격경쟁력 약화로 직결된다. 철강의 경우, 연관된 산업·국가가 워낙 많다 보니 종합적으로 득실을 따져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일각에서는 철강이 미리 매를 맞아서 호재가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지만, 호재 악재를 평가하는 건 섣부르다"면서 "철강 제품별로 영향이 각각 다를 수 있고 또 다른 국가에서 어느정도로 맞대응을 할지 등 변수가 너무 많다"고 말했다.

철강업계는 정부, 철강협회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시장 상황에 빠르게 대응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국가별 협상에서 철강 관세 인하를 위해 정부와 긴밀히 소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칸 영화제는 왜 '독기 룩'을 금지했나 [솔드아웃]
  • 카카오톡에 등장한 ‘입력 중…’, 그 세 점의 파장 그리고 ‘끄기’ [해시태그]
  • 라스트 미션으로 돌아오는 톰 크루즈…육해공 넘나드는 톰형의 '탈 것'은 [셀럽의카]
  • 비트코인, 금리 인하 시그널 없자 횡보…리플은 SEC와 합의 기각되며 급락 [Bit코인]
  • 단독 인사 전략 손보는 우리은행…정진완 式 지역 맞춤형 인사 전략 가동
  • 대선 패션왕?…유세복에도 '전략' 숨어있다 [왕이 될 상인가]
  • 美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털렸다⋯해킹 피해 복구 금액 무려
  • ‘셀코리아’ 외국인 9달째 한국 주식 발 뺀다…지난달 13조 넘게 순매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223,000
    • +1.12%
    • 이더리움
    • 3,711,000
    • +2.51%
    • 비트코인 캐시
    • 564,000
    • +1.71%
    • 리플
    • 3,425
    • -2%
    • 솔라나
    • 244,600
    • +1.33%
    • 에이다
    • 1,102
    • +1.01%
    • 이오스
    • 1,217
    • +11.45%
    • 트론
    • 385
    • +1.05%
    • 스텔라루멘
    • 422
    • +0.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400
    • +0.1%
    • 체인링크
    • 23,200
    • +0.87%
    • 샌드박스
    • 465
    • -0.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