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미국시장 가격인상 계획 없어” [서울모빌리티쇼]

입력 2025-04-03 11: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관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현대자동차관 보도발표회에서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호세 무뇨스 사장이 현대차 전략에 대해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현대차)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관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현대자동차관 보도발표회에서 현대자동차 대표이사 호세 무뇨스 사장이 현대차 전략에 대해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현대차)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사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 “이전에도 설명이 있었기 때문에 크게 놀라운 사실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무뇨스 사장은 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기자들과 만나 “오늘 관세 발표가 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미국 시장이 중요한 시장이라는 점을 인지하고 있고 큰 의지를 갖고 있다”며 “그래서 단기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미국 시장에서 현대차는 늘 경쟁력을 유지해 나갈 것”이라며 “좋은 디자인, 기술, 서비스, 금융 프로그램을 비롯해서 좋은 제품, 경쟁력 있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현재로서는 미국 시장에서 가격을 인상할 계획은 없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무뇨스 사장은 “서울 모빌리티쇼에 처음 참석하게 돼 너무 인상적이었다”며 “여러 혁신을 볼 수 있었고 새로운 기술을 볼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중국 BYD 등 전기차 기업들의 한국시장 진출에 대해선 “환영한다”고 밝혔다. 그는 “새로운 경쟁사가 시장에 들온다는 것은 현대차가 더 탄탄해질 수 있는 기회가 된다”며 “현대차의 기술이나 디자인, 경쟁력을 가지고 시장에 계속 진입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또 무뇨스 사장은 GM과 미국 내 수소 인프라 구축 협력을 묻는 말에 “수소라는 기술은 환경과 우리 미래의 기술로 다양한 것을 제공하고 있다”며 “새로운 기술이라는 건 항상 혼자 할 수 없을 수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플레이어들과 논의하고 있고 실제로 진척 사항도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두 번째 대면한 정용진…3배 실적 점프에 ‘글로벌 영향력’ 확대
  • 팬심도 쌓고 자산도 쌓고…최애 ‘덕질통장’으로 즐겁게 저금해볼까 [경제한줌]
  • '아아'의 계절이 온다…2025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 비교 "가장 싼 곳은?" [그래픽 스토리]
  • 대학 축제 라인업, 집착(?)의 이유는 [이슈크래커]
  • 단독 대선 앞두고...동서식품, 6개월 만에 또 ‘가격 인상’
  • 김용태 비대위원장, 尹 전 대통령에 탈당 권고…"대선 승리 위해 결단해달라"
  • 유권자 10명 중 8명 “이번 대선 반드시 투표하겠다”
  • ‘골때녀’ 원더우먼, 월클에 이어 스밍파에도 3-0 승리...마시마·우희진 활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812,000
    • -0.75%
    • 이더리움
    • 3,579,000
    • -1.92%
    • 비트코인 캐시
    • 552,500
    • -2.3%
    • 리플
    • 3,484
    • -4.78%
    • 솔라나
    • 240,400
    • -4.38%
    • 에이다
    • 1,081
    • -5.34%
    • 이오스
    • 1,086
    • -6.3%
    • 트론
    • 380
    • -1.3%
    • 스텔라루멘
    • 416
    • -4.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400
    • -4.81%
    • 체인링크
    • 22,900
    • -3.74%
    • 샌드박스
    • 464
    • -7.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