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車 이중 타격 피했지만…대미 수출 위축 불가피 [美 상호관세 쇼크]

입력 2025-04-03 11: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관세 발표 놀라운 사실 아냐…미국시장 가격인상 계획 없어”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를 하루 앞둔 2일 경기 평택항에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시각 3일 오전 5시(현지시각 2일 오후 4시) 전세계 각국을 상대로 즉시발효를 전제로 한 상호관세를 발표한다. 우리 수출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 큰 장벽이 생기는 셈이다. 이미 품목별 관세가 부과됐거나 예정된 자동차, 철강재 등은 예고된 이중관세에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를 하루 앞둔 2일 경기 평택항에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시각 3일 오전 5시(현지시각 2일 오후 4시) 전세계 각국을 상대로 즉시발효를 전제로 한 상호관세를 발표한다. 우리 수출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 큰 장벽이 생기는 셈이다. 이미 품목별 관세가 부과됐거나 예정된 자동차, 철강재 등은 예고된 이중관세에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를 발표한 가운데, 자동차 등에는 상호관세가 추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히면서 자동차 업계는 일단 한숨 돌린 분위기다. 다만, 관세 회피를 위해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릴 수밖에 없는 점은 고민이다.

2일(현지시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에 대한 26% 관세를 비롯해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 관세를 발표했다.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다른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상호관세가 추가로 적용되지 않는다.

상호관세는 피했지만 관세 회피를 위해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면 이에 따른 국내 공장의 미국향 수출 감소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글로벌 자동차 생산 5위에서 7위로 떨어진 한국 자동차 생산에 직격탄이다.

미국이 상호 관세 및 수입차에 대한 관세를 국가별 협상을 통해 조율하지 않는 한 미국 생산을 늘릴 수밖에 없다.

지난해 현대자동차의 국내 수출 118만 대 중 미국향은 64만 대로 비중은 54%다. 기아의 국내 수출 101만 대 중 미국향은 38만 대(비중 38%)다. GM한국사업장(한국지엠)의 수출 중 미국 비중은 88%다.

미국 판매 수입산 비중은 현대차가 68%, 기아 64%로 미국 시장 평균 50% 대비 수입차 의존도가 높은 수준이다. 두 업체의 미국 판매 중 한국산 비중은 현대차 67%, 기아 45%로 파악된다.

일단 현대차는 미국시장에서 자동차 가격인상을 하지 않고 상황을 지켜볼 계획이다.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사장은 이날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재로서는 미국 시장에서 가격을 인상할 계획은 없다”고 강조했다.

무뇨스 사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 “오늘 관세 발표가 있었다. 이전에도 설명이 있었기 때문에 크게 놀라운 사실은 아니다”라고 고 말했다.

그는 “미국 시장이 중요한 시장이라는 점을 인지하고 있고 큰 의지를 갖고 있다”며 “그래서 단기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미국 시장에서 현대차는 늘 경쟁력을 유지해 나갈 것”이라며 “좋은 디자인, 기술, 서비스, 금융 프로그램을 비롯해서 좋은 제품, 경쟁력 있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관세는) 국가와 국가 간에 벌어지는 일이라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는 저희의 숙제인 것 같다”면서 “기아의 장점은 가장 유연하고 빠르게 대응할수 있는 체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방향 설정이 나오면 신속하게 대응해 잘 극복하겠다”고 말했다.

생산 및 수출 계획 변화에 대해선 “현재 변화는 없고 갖고 있는 공장을 최대한 활용하겠다”고 덧붙였다.

현대차그룹은 미국내 세 번째 공장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로 미국 내 생산 비중을 늘려가며 타격을 줄여나갈 계획이다.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은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HMGMA’ 준공식에서 “현재 미국에서 170만 대 팔고 있다. 현지 생산을 36% 정도 하고 있는데, 이 비율을 44%까지 올릴 생각”이라며 “그리고 더 시장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두 번째 대면한 정용진…3배 실적 점프에 ‘글로벌 영향력’ 확대
  • 팬심도 쌓고 자산도 쌓고…최애 ‘덕질통장’으로 즐겁게 저금해볼까 [경제한줌]
  • '아아'의 계절이 온다…2025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 비교 "가장 싼 곳은?" [그래픽 스토리]
  • 대학 축제 라인업, 집착(?)의 이유는 [이슈크래커]
  • 단독 대선 앞두고...동서식품, 6개월 만에 또 ‘가격 인상’
  • 김용태 비대위원장, 尹 전 대통령에 탈당 권고…"대선 승리 위해 결단해달라"
  • 유권자 10명 중 8명 “이번 대선 반드시 투표하겠다”
  • ‘골때녀’ 원더우먼, 월클에 이어 스밍파에도 3-0 승리...마시마·우희진 활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654,000
    • -0.79%
    • 이더리움
    • 3,615,000
    • -2.01%
    • 비트코인 캐시
    • 553,000
    • -3.49%
    • 리플
    • 3,499
    • -4.69%
    • 솔라나
    • 241,800
    • -4.99%
    • 에이다
    • 1,089
    • -5.47%
    • 이오스
    • 1,091
    • -7.78%
    • 트론
    • 382
    • -1.04%
    • 스텔라루멘
    • 422
    • -3.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150
    • -6.29%
    • 체인링크
    • 23,010
    • -4.44%
    • 샌드박스
    • 468
    • -7.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