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회사들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규모가 직전 분기 대비 감소 흐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부동산 시장 개선이 지연되면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한 사업장 규모는 소폭 확대됐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전 분기 대비 5000억 원 감소한 55조8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권 총자산(7182조7000억 원) 대비 0.8% 수준이다.
업권별로는 보험이 30조4000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은행 12조 원, 증권 7조7000억 원, 상호금융 3조6000억 원, 여전 2조 원, 저축은행 1000억 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4조1000억 원으로 가장 규모가 컸고, 유럽 10조8000억 원, 아시아 3조8000억 원, 기타 7조1000억 원 순이었다.
올해 만기를 맞는 사업장은 12조 원으로 전체 21.5% 수준이고, 2030년까지 42조5000억 원(76.2%)이 만기도래를 앞두고 있다.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 34조3000억 원 중 EOD 사유가 발생한 사업장은 2조6400억 원으로 나타났다. 전 분기 대비 400억 원 증가하는 등 EOD 규모가 소폭 확대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통화정책 긴축 완화에도 미국 대선 전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늘어나면서 해외 부동산 시장의 개선이 미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오피스 시장은 유연근무 확산 등 구조적 요인도 맞물려 공실률이 20.1%에 이르는 등 불황이 이어지고 있다.
금감원은 “국내 금융회사는 오피스 투자자산을 중심으로 손실 확대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손실흡수능력도 충분해 시스템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작다”고 진단했다.
한편, 금감원은 해외 대체투자 업무 제도개선을 조속히 마무리하고, 투자 관리 역량이 확보된 뒤 해외 대체투자가 이뤄지도록 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다.
더불어 특이동향이 발생했거나 익스포져가 크고 손실률이 높은 사업장 등을 중심으로 리스크 관리가 이뤄지게 지도하고, 적정한 손실을 인식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