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투자전략] 코스피, 美 증시 폭락 여진 속 오전 11시 탄핵심판 변동성

입력 2025-04-04 10: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4-04 10:3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4일 코스피 지수는 미국 증시 급락으로 악재의 여진을 비껴가기 어려울 전망이다. 간밤 나스닥 6%대,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9% 넘게 폭락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어제 국내 증시는 생각보다 선방하는 의외의 강함을 보여줬지만, 오늘은 11시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예정되어 있는데, 11시 판결 시작부터 분봉이 요동치는 타임도 나오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선고 결과에 따라 트럼프와 협상, 추경 편성 등과 같은 주요 일정에 변화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라면서도 "여러모로 주가 하방 압력을 받기 쉬운 구간이기는 해도, 여타 증시와 달리 국내 증시는 추가적인 지수 레벨 다운 리스크는 크지 않을 듯 하다"고 설명했다.

전일 기준 코스피의 후행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84배로 작년 연말 2400포인트가 깨졌던 밸류에이션 레벨로 다운되는 등 역사적 밴드 하단 부근에 도달했다.

2018~19년 미중 무역분쟁 당시에는 후행 PBR이 0.80배까지 내려간 전력이 있기에, 이번에도 해당 밸류에이션 레벨까지 조정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 제기는 가능하다.

한 연구원은 "일시적으로 PBR 0.8배 혹은 그 이하로 내려갈 수는 있겠지만, 해당 레벨에서 고착화되기 보다는 수시로 반등을 주면서 하방 경직성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주식시장은 당분간 관세 불확실성에서 쉽게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금 트럼프 진영의 전략은 '선 관세 부과 후 → 상대국가와 협상 → 관세율 조정'의 전략을 취했기에, 상대국가의 대응에 따라 관세율이 낮아질 수가 있다"고 했다.

다만 "하루 만에 증시가 이렇게 폭락하고, 밸류에이션도 그렇고, 공포 탐욕 지수가 9포인트대로 전에 본 적이 없었던 수준까지 내려갔다는 점까지 같이 고려해보면, 이는 주식시장이 또 다른 관세 악재로 연쇄 급락을 겪지는 않으리라고 생각된다"고 짚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관세정책 혼선 지적에 “면제 아냐...품목 관세”
  • 의료법에 막힌 비대면진료 ‘제도화’ 해법은? [갈림길에 선 비대면진료③]
  • 尹 '내란혐의' 정식재판 본격 개시...'공천개입 의혹' 수사도 급물살
  • 인구 폭발은 기회…경제 혁신 물결 이는 검은 대륙 [아프리카 자본주의 혁명]
  • 벚꽃만개 4월에 내리는 눈…대설주의보 안내문자까지 발송
  • 서울 유명 빵집서 진열된 빵에 혀 대는 아이…외국인이 포착?
  • 완성차 업계, 올해 임단협 쟁점 산적…시작도 전에 진통 예고
  • 포스코, 美 25% 철강 관세 대응 위해 현대제철과 손잡나…"검토 중"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4 09:0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752,000
    • -1.53%
    • 이더리움
    • 2,326,000
    • -2.23%
    • 비트코인 캐시
    • 499,300
    • +0.36%
    • 리플
    • 3,080
    • -1.22%
    • 솔라나
    • 186,700
    • -2.56%
    • 에이다
    • 926
    • -2.94%
    • 이오스
    • 882
    • -12.15%
    • 트론
    • 370
    • +3.64%
    • 스텔라루멘
    • 346
    • -3.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900
    • -5.43%
    • 체인링크
    • 18,360
    • -3.47%
    • 샌드박스
    • 374
    • -5.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