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산업의 미래를 한눈에…'2025 서울모빌리티쇼' 개막

입력 2025-04-04 08: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13일 고양 킨텍스에서 개최

▲현대자동차그룹의 미국 내 도심 항공 모빌리티 법인 '슈퍼널'이 공개한 UAM 인테리어 콘셉트 모델. (사진제공=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의 미국 내 도심 항공 모빌리티 법인 '슈퍼널'이 공개한 UAM 인테리어 콘셉트 모델. (사진제공=현대차그룹)

도심항공교통(UAM)과 인공지능(AI) 및 로보틱스 등 미래 모빌리티의 혁신 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최대 규모의 모빌리티 산업 전시회인 '2025서울모빌리티쇼'가 4일부터 13일까지 10일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올해 30주년인 2025서울모빌리티쇼는 'Mobility, Everywhere'를 주제로 전 세계 12개국 451개 기업·기관이 참가한다.

육(자동차)·해(선박)·공(UAM) 등 다양한 이동 수단과 자율주행 및 AI, 로보틱스 등 미래 모빌리티 혁신 기술 콘텐츠가 전시된다.

▲신형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 (사진=현대차)
▲신형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 (사진=현대차)

특히, 전시회에는 세계 최초 5종, 아시아 최초 2종, 국내 최초 14종의 신차가 공개돼 관람객의 눈길을 끌 예정이다.

세계 최초를 보면 △The All New NEXO △The New IONIQ 6 등 현대차 2종과 △X Gran Coupe Concept △X Gran Convertible Concept 등 제네시스 2종, △Tasman Weekender 기아차 1종 등이다.

아시아 최초는 △이네오스 그레나디어 포털액슬 △이네오스 그레나디어 첼시트럭컴퍼니 시리즈II 등이다.

한편, 이번 행사에서는 모빌리티 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과 연구기관 등이 함께 모여 모빌리티의 비전을 공유하는 '서울모빌리티포럼', 모빌리티산업의 AI 활용을 주제로 하는 ‘자동차모빌리티산업발전포럼’, 모빌리티 분야 우수 혁신 기업을 시상하는 ‘서울모빌리티 어워드’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예정돼 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개막식에서 "우리가 가진 기술력과 도전정신, 협력의 힘으로 통상 파고를 이겨내자"라며 "정부도 자동차산업 긴급 지원대책을 마련하고, 위기 극복을 위해 우리 산업인 여러분과 끝까지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환율ㆍ원자재까지 온통 잿빛 전장…산업계 ‘시계제로’
  • ‘관세 유예’ 90일 뒤 또 연장?…트럼프 “그때 다시 생각할 것”
  •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매력 ‘시들’…연 3%대 사라졌다
  • 윤석열 전 대통령, 오늘 오후 5시 관저 떠난다…아크로비스타로 이동
  • [종합] 뉴욕증시, ‘중국산 관세 145% 정정’에 급락...나스닥 4.31%↓
  • 대만 간 이주은 치어리더, LG 트윈스 유니폼 입는다
  • 신안산선 터널 공사현장 붕괴 위험…호현삼거리~KTX광명역 도로 통제
  • “대중 관세 125%·나머지는 유예”…트럼프 상호관세 美·中 2파전 재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11:4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8,839,000
    • -2.47%
    • 이더리움
    • 2,275,000
    • -6.3%
    • 비트코인 캐시
    • 435,400
    • -1.78%
    • 리플
    • 2,945
    • -1.47%
    • 솔라나
    • 169,000
    • -2.59%
    • 에이다
    • 917
    • -0.33%
    • 이오스
    • 954
    • -6.84%
    • 트론
    • 349
    • -1.41%
    • 스텔라루멘
    • 343
    • -2.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990
    • -2.59%
    • 체인링크
    • 18,210
    • -1.3%
    • 샌드박스
    • 383
    • +1.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