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소형위성체계 개발 추진…재해·재난 및 우주산업 육성에 기여

입력 2025-04-04 1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우주항공청 전경 (사진제공=연합)
▲우주항공청 전경 (사진제공=연합)
우주항공청, 방위사업청, 해양경찰청은 2일부터 4일까지 부산에서 ‘초소형위성체계 상세설계검토회의’를 개최하고 위성체계 설계의 요구성능 충족 여부와 향후 추진방안을 논의했다.

초소형위성체계 개발사업은 한반도와 주변 해역의 위기 상황을 신속하게 감시하고,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위성체계를 구축하는 다부처 협력사업이다. 총괄연구기관은 국방과학연구소가 담당하고, 국내 다수의 연구기관과 업체들이 함께 참여하고 있다.

이번 상세설계검토회의에서는 위성체계가 요구성능을 충족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됐는지를 최종 점검했으며, 승인된 비용과 일정 범위 내에서 시제 제작, 체계통합 및 시험단계로의 진행 가능 여부를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앞으로는 실제 우주 발사를 목표로 하는 합성개구레이더(SAR) 검증위성 비행모델(FM)의 제작단계에 돌입해 각종 지상 시험을 거친 뒤 2026년 후반기에 발사될 예정으로, 이후에는 합성개구레이더(SAR) 군집위성과 전자광학(EO) 위성을 순차적으로 발사할 계획이다.

방위사업청 정규헌 우주지휘통신사업부장은 “초소형위성체계 개발은 현재 정상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국가 우주자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민ㆍ군 통합운용센터 구축과 공동 운용방안을 검토․추진하고 있다”라며 “향후 전력화가 완료되면, 425위성과 상호보완적 운용이 가능한 우리 군의 킬체인 핵심전력으로 활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양경찰청 여성수 경비국장은 “부처 간 긴밀한 협력으로 차질없이 위성 개발을 진행하고, 초소형위성을 활용해 광활한 해역에 대해 더욱 신속하고 정밀한 위기 감시‧대응 체계(MDA)를 갖추어 해양주권 수호와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주항공청 김진희 인공위성부문장은 “초소형위성체계 개발사업의 중요한 과정을 통과했으며 향후 재해·재난에 대한 신속 대응과 국가 기반시설 관리 등 국민 안전과, 우주 핵심기술 확보 및 국내 발사체 발사기회 제공 등을 통한 국내 우주산업 육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이후 개발과정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S의 공포’ 촉발...글로벌 시장, 팬데믹급 충격 휘말려
  • 내수한파 방어할 새 경제수장 누구…전 장·차관 출신들 거론
  • 반도체 훈풍 속 입주 시작한 '고덕 유보라 더 크레스트' [가보니]
  • [유하영의 금융TMI] 금융권 AI 활용…어디까지 왔을까요?
  • 'CFE' 지고 'RE100' 집중?…'백년지대계' 에너지 정책 운명은?
  • 尹 파면 격분해 곤봉으로 경찰버스 파손한 20대 남성, 구속 기로
  • ‘이강인 결장’ PSG, 프랑스 리그1 4시즌 연속 우승 성공…트레블 도전 ‘청신호’
  • 美 상호관세 부과는 초탄, 진짜 충격은 중국·EU 등 주요국 보복관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8,872,000
    • -3.1%
    • 이더리움
    • 2,422,000
    • -8.43%
    • 비트코인 캐시
    • 411,200
    • -7.41%
    • 리플
    • 2,977
    • -5.43%
    • 솔라나
    • 161,300
    • -8.4%
    • 에이다
    • 880
    • -8.43%
    • 이오스
    • 1,172
    • +4.36%
    • 트론
    • 350
    • -0.57%
    • 스텔라루멘
    • 358
    • -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660
    • -10.4%
    • 체인링크
    • 17,230
    • -7.96%
    • 샌드박스
    • 352
    • -8.5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