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 한국피아이엠, 코스닥 상장 첫날 65%↑

입력 2025-04-04 09: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 1위 MIM(Metal Injection Molding) 기술을 보유한 한국피아이엠이 코스닥 상장 첫날 상승세다. MIM은 3D 프린터 수준의 초정밀 가공과 복잡한 형상 구현이 가능한 차세대 제조 기술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원하는 방식으로 설계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4일 오전 9시 30분 현재 한국피아이엠은 공모가(1만2000원) 대비 65.80% 오른 1만857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한국피아이엠은 MIM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자동차 전장, 정보기술(IT), 자율주행 기업들을 고객사로 확보하면서 안정적인 실적 기반을 구축했다. 창립 때부터 수출을 지향했으며, 현재 매출액 대비 수출 비중을 40% 이상 유지하고 있다.

회사 측은 안정적인 본원사업 실적을 바탕으로 사업 다각화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R&D)을 진행했으며, 올해부터 IT, 자율주행 등 신사업 성과를 본격화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연내 IT, 자율주행 신제품 양산을 앞두고 있으며, 이익률이 높은 신사업 제품을 기반으로 실적 성장을 가속한다는 것이다.

이어, 이번 상장 자금으로 MIM 기술 적용 범위를 휴머노이드 등 로봇 분야까지 확대하고 티타늄 소재 신사업도 전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티타늄 기반 MIM 기술을 확보한 후 휴머노이드 로봇 감속기 핵심 소재를 개발 중이다.

송준호 한국피아이엠 대표이사는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업공개(IPO) 간담회에서 "세계 최고의 MIM 회사가 되고자 설립한 한국피아이엠은 이번 IPO를 글로벌 최고 기업으로 나아가는 초석으로 삼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한국피아이엠은 25~26일 양일간 진행된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에서 138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청약증거금은 약 2조5200억 원에 달했다. 앞서 진행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는 121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공모가는 희망 범위 최상단인 1만1200원으로 확정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통산 20번째 우승' 앞둔 리버풀, 안필드 용사들의 출근 차량은 [셀럽의카]
  • 뺏어가던 한국 쌀, 이제는 사가는 일본…‘백미 자존심’ 꺾인 사연은? [해시태그]
  • '해킹 사고' SKT 대국민 사과…"전 고객 유심 무료 교체하겠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519,000
    • +2.63%
    • 이더리움
    • 2,601,000
    • +2.32%
    • 비트코인 캐시
    • 547,500
    • +7.99%
    • 리플
    • 3,181
    • +0.03%
    • 솔라나
    • 220,400
    • +1.57%
    • 에이다
    • 1,047
    • -0.95%
    • 이오스
    • 995
    • +1.74%
    • 트론
    • 352
    • -0.56%
    • 스텔라루멘
    • 416
    • +3.7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100
    • +46.08%
    • 체인링크
    • 21,920
    • +1.39%
    • 샌드박스
    • 446
    • +3.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