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4일 파면되자 비이재명(비명·非明)계가 제왕적 대통령제를 개선하기 위한 ‘개헌 논의’의 불씨를 다시 살리고 있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이날 자신의 SNS에 “파면은 끝이 아니라 국가 대개조를 위한 새로운 시작”이라고 했다.
김 전 지사는 “혹독한 겨울이었다. 국회 앞에서, 남태령에서, 광장에서, 그리고 일상에서 민주주의와 헌정질서 회복을 위해 싸워주신 국민들께서 윤석열 파면을 이뤄냈다”며 “기대보다 늦어졌지만 현명한 판단을 해 주신 헌법재판관들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했다.
그는 “정치경제사회 전 분야의 대개조에 착수하자”며 “불법 계엄으로 망가진 국가를 신속하게 복구하고, 정상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 뉴스
김 전 지사는 “개헌을 통한 새로운 7공화국의 문도 함께 열어야 한다”며 “정권교체가 첫 단추다. 압도적인 정권교체여야 한다”고 했다.
김두관 전 의원도 “대한민국의 방향은 이제 국민이 직접 결정해야 한다. 국민과 함께하는 논의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며 “낡은 87년 체제를 끝내고 제7공화국을 여는 개헌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저는 국민과 함께,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를 고민하고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다시는 민주공화국을 파괴하는 망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나라의 규범과 시스템을 바로 세워야 한다”며 “내란의 공범자들, 폭력의 선동자들, 그들을 책임지게 해야 한다. 민주공화국을 지키려는 모든 정치인의 의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