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관세 인상폭 커…인플레 높이고 성장 둔화시킬 것”

입력 2025-04-05 15: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통화정책 대응 말하긴 일러”
‘매파 발언’에 인하 기대 찬물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4일(현지시간)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린 콘퍼런스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알링턴(미국)/EPA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4일(현지시간)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린 콘퍼런스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알링턴(미국)/EPA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높이고 성장을 둔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단 이에 중앙은행이 어떤 대응을 해야 할지에 대해 판단하기에는 이르다고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파월은 이날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린 콘퍼런스 공개 연설에서 “관세가 거의 모든 예측가가 전망한 것을 웃도는 등 예상보다 높다”면서 “관세 인상이 예상보다 상당히 클 것이라는 점이 이제 분명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높이고 경제성장을 둔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한 “높은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더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그에 대한 대응에는 신중한 태도를 나타냈다. 그는 “우리는 통화정책 입장에 대한 조정을 고려하기 전에 더 명확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면서 “통화정책에 대한 적절한 경로가 무엇인지 말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밝혔다.

이러한 파월의 발언은 매파적으로 여겨지며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에 찬물을 끼얹었다고 금융시장은 평가했다.

한편 트럼프는 파월에 금리 인하를 재차 압박했다. 트럼프는 이날 트루스소셜에서 “지금은 파월 의장이 금리를 인하하기 완벽한 시기”라면서 “그은 항상 늦는 편인데, 지금이 바로 이미지 변신을 할 기회”라고 언급했다. 이어 “금리를 인하하세요, 제롬! 그리고 정치놀음은 이제 그만 두세요”라고 촉구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연준이 기준금리 동결 결정을 내리자 “옳은 일을 하라”라면서 금리를 내릴 것을 요구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환율ㆍ원자재까지 온통 잿빛 전장…산업계 ‘시계제로’
  • ‘관세 유예’ 90일 뒤 또 연장?…트럼프 “그때 다시 생각할 것”
  •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매력 ‘시들’…연 3%대 사라졌다
  • 윤석열 전 대통령, 오늘 오후 5시 관저 떠난다…아크로비스타로 이동
  • [종합] 뉴욕증시, ‘중국산 관세 145% 정정’에 급락...나스닥 4.31%↓
  • 대만 간 이주은 치어리더, LG 트윈스 유니폼 입는다
  • 신안산선 터널 공사현장 붕괴 위험…호현삼거리~KTX광명역 도로 통제
  • “대중 관세 125%·나머지는 유예”…트럼프 상호관세 美·中 2파전 재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13:2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9,533,000
    • -0.99%
    • 이더리움
    • 2,290,000
    • -3.78%
    • 비트코인 캐시
    • 439,000
    • +0.32%
    • 리플
    • 2,968
    • +1.09%
    • 솔라나
    • 171,100
    • +0.41%
    • 에이다
    • 923
    • +2.21%
    • 이오스
    • 932
    • -7.91%
    • 트론
    • 349
    • -1.69%
    • 스텔라루멘
    • 345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320
    • -0.1%
    • 체인링크
    • 18,360
    • +1.21%
    • 샌드박스
    • 383
    • +2.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