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경기지수 '임기 최저치' 곤두박질…계엄 후 더 고꾸라져

입력 2025-04-06 09: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동행지수, 올해 1월 98.4까지 떨어져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전 대통령 임기 중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지수가 취임 초반 고점을 찍은 뒤 계속해서 곤두박질쳤다. 특히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가파르게 하락하며 임기 중 최저치를 찍었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등에 따르면 올해 1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4로 전달보다 0.4포인트(p) 하락했다. 윤 전 대통령이 취임한 2022년 5월 이후 가장 낮다.

올해 2월 0.1p 반등하긴 했다. 그러나 앞서 석 달 연속 내림세가 이어졌고 반등 폭도 작아 상승세 전환 흐름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동행지수 지표상 경기 하향 국면이 계속되고 있다는 의미다.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현재의 경기 흐름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경기지수다. 광공업·서비스업 생산, 소매판매·내수출하지수 등 7개 지표로 구성된다.

경기동행지수는 월별로 등락이 있지만, 윤 전 대통령 취임 초 정점을 찍은 뒤 연일 하락해 임기 내내 제대로 반등하지 못했다. 동행지수는 코로나 19 팬데믹 당시인 2020년 5월 96.3으로 바닥을 찍었다. 이후 재정 보강, 엔데믹 경기 회복 등 영향으로 상승하다가 2022년 9월(101.6)을 기점으로 꺾였다. 윤 전 대통령이 취임한 지 반년도 채 되지 않아 경기가 내림세로 돌아선 것이다.

당시 경기동행지수가 내림세로 전환한 주된 이유는 반도체 불황이다. 윤 정부 취임 직전인 2022년 4월부터 광공업 생산지수(동행지표 구성지표)의 내림세가 시작했다. 이 추세는 이듬해 2월까지 11개월 연속 이어졌다.

반도체 불황이 고비를 넘기면서 경기가 살아나는 듯했지만, 이번에는 내수 부진에 발목을 잡혔다. 코로나19 사태가 끝났는데도 소매판매(동행지표 구성지표)는 증가하지 않고 2023년 5월부터 1년 중 8개월간 뒷걸음질했다.

지난해 상반기부터는 건설업 불황까지 더해졌다. 건설 기성액(동행지수 구성지표)은 지난해 4월 4.1% 감소한 이후 지난 2월까지 11개월 연속 줄면서 동행지수를 끌어 내렸다.

경기지수 내림세는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전후로 뚜렷하게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동행지수는 99를 웃돌았으나 석 달 연속, 총 0.9p 급락해 올해 1월(98.4)에는 약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까지 주저앉았다.

정부 관계자는 "동행지수는 2022년 9월을 정점으로 최근까지 계속 하향하는 추세"라며 "2월 소폭 반등했지만, 앞으로 추세를 더 봐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문수 후보직 박탈-한덕수로 강제교체...파국 치닫는 국힘
  • 3050 공략 스테디셀러 ‘삼국지 IP’, 어떤 게임 해볼까? [딥인더게임]
  • “러닝족은 귀하신 몸”…패션업계, 러너 체험 마케팅·전문관 봇물
  • ‘단종할 땐 언제고’...식품업계, 저비용·높은 화제성 노린 재출시 열풍
  • “유심 털리니 계좌도 걱정”…은행권, ‘얼굴 인증’ 강화
  • 죽은 연애 세포 되살려내는 '바이러스'…배두나·김윤석·장기하의 만남 [시네마천국]
  • "이곳저곳 떠나보세요"…황금연휴, 가족 행사로 마무리하는 법 [주말N축제]
  • 중국, 미국 수출 제재에도 엔비디아 칩 확보한 방법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667,000
    • -0.51%
    • 이더리움
    • 3,470,000
    • +5.99%
    • 비트코인 캐시
    • 585,500
    • +2.36%
    • 리플
    • 3,370
    • +2.21%
    • 솔라나
    • 239,800
    • -0.5%
    • 에이다
    • 1,133
    • +3.56%
    • 이오스
    • 1,283
    • +7.45%
    • 트론
    • 363
    • -1.09%
    • 스텔라루멘
    • 427
    • +3.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350
    • +2.01%
    • 체인링크
    • 23,340
    • +4.34%
    • 샌드박스
    • 487
    • +5.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