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 토지거래 허가구역을 해제했을 때 거래량이 3배 이상 늘고 신고가는 7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직방은 잠실·삼성·대치·청담동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됐던 2월 13~3월 23일(39일간) 거래 데이터를 살펴본 결과 해당 기간 서울의 전체 매매거래량은 9665건(4일 기준)으로 해제 발표 직전 39일간(1월 4~2월 11일) 거래량 4559건보다 2.1배 많았다고 밝혔다. 신고가 거래는 362건에서 839건으로 2.3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잠삼대청의 매매거래량은 99건에서 353건으로 3.6배 늘었다. 13건이었던 신고가 거래는 84건으로 6.5배 증가했다.
잠삼대청의 거래량과 신고가 사례가 서울 전체와 비교해 두드러진 것이다. 아직 실거래 신고기한이 남아 있어 이런 수치는 더 커질 수 있다.
관련 뉴스
토허제 해제 대상 지역에서는 잠실동의 거래가 가장 많았다. 39일 동안 잠실동은 총 135건의 아파트 거래가 있었다. 소위 '잠실 3대장'으로 불리는 리센츠(38건), 잠실엘스(34건), 트리지움(30건)이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이들은 총 규모가 1만5000가구에 육박해 거래량도 많고 서울 아파트 거래시장의 선행지표로 역할을 하는 만큼 이번 규제 해제 직후 매수세가 집중된 것으로 풀이된다.
잠실동에 이어 삼성동(86건), 대치동(71건), 청담동(61건) 순으로 거래가 많았다. 삼성동은 삼성동힐스테이트 1단지(16건), 대치동은 대치현대(10건), 청담동은 청담자이(11건)의 거래가 활발했다.
규제 대상이 아니었던 지역에서는 강남구(676건, 규제 해제 대상 제외), 강동구(652건), 송파구(652건, 규제해제 대상 제외), 성동구(637건) 순으로 거래가 많았다.
최근 강남권 집값이 빠르게 오르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고 강남 생활권에 준하는 환경을 찾는 수요자들이 강동구로 눈을 돌리는 흐름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김민영 빅데이터랩실 매니저는 "규제 지역 재지정 등으로 단기적으로는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만 상급지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상승 흐름이 나타날 여지도 있다"며 "강남권을 비롯한 주요 인기 지역은 공급 부족과 희소성이 부각되면서 조정기 속에서도 강한 가격 방어력을 보이고 있어 집값 상승에 대한 모멘텀은 유효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