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중입자 치료기 도입 착수…2031년 가동 목표

입력 2025-04-07 15: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일본 도시바ESS-DK메디칼솔루션 컨소시엄과 계약 체결

▲서울아산병원이 7일 중입자 치료기 도입을 위한 계약 체결식을 가졌다. (왼쪽부터) 다케우치 도시바ESS 부사장, 박승일 서울아산병원장, 이창규 DK메디칼솔루션 회장이 계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아산병원)
▲서울아산병원이 7일 중입자 치료기 도입을 위한 계약 체결식을 가졌다. (왼쪽부터) 다케우치 도시바ESS 부사장, 박승일 서울아산병원장, 이창규 DK메디칼솔루션 회장이 계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아산병원)

서울아산병원이 최첨단 암 치료 장비 ‘중입자 치료기’를 도입하고 난치성 암 환자를 위한 맞춤형 정밀의료 실현에 나선다.

7일 서울아산병원은 일본 도시바ESS-DK메디칼솔루션 컨소시엄과 계약을 체결하고 2031년 가동을 목표로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했다.

멀티이온빔을 사용할 수 있는 최신 성능의 중입자 치료 장비와 컴퓨터단층촬영(CT) 영상 기반의 정밀 조준 치료가 가능한 차별화된 시스템을 도입해 더 많은 암 환자들에게 다양한 치료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아산병원은 송파구 풍납동 캠퍼스에 연면적 4만880㎡(약 1만2388평)로 국내 최대 규모의 중입자 치료 시설을 건립한다. 여러 기관과 지자체로부터 유치 희망과 제안을 받았으나, 환자 편의 및 임상 치료와 연계된 의학연구 등 지역사회 발전을 고려해 풍납동 캠퍼스 설치를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중입자 치료 시설에는 회전형 치료기 2대, 고정형 치료기 1대를 도입하고 최첨단 치료 환경을 구축해 암 환자들의 치료 편의성을 향상할 계획이다.

서울아산병원의 중입자 치료기는 전립선암, 췌장암, 간암뿐 아니라 폐암, 육종암, 신장암, 재발암 등 기존 치료에 내성을 가진 암종에도 적용이 가능해져 난치성 암 환자들에게 최적의 치료 방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입자 치료기는 탄소 이온과 같은 무거운 입자를 활용해 암세포를 제거하는 치료 장비다. 높은 에너지를 가진 중입자 빔을 암세포에 조사하는 방식으로, 정상 조직 손상을 피하고 암 조직만 집중적으로 사멸시킨다.

서울아산병원은 최고 사양의 중입자 치료 장비를 갖추게 되는 것은 물론, 기존 대비 중입자 빔 조사 범위가 넓고 선량률이 높은 치료기를 도입할 예정이다. 짧은 시간 동안 넓은 범위를 치료할 수 있어 환자의 부담이 적다.

또한 탄소 이온뿐 아니라 헬륨, 네온, 산소 등 다양한 입자를 활용해 정상 조직 손상은 최소화하고 내성이 강한 종양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소아 종양에도 적용해 볼 수 있는 멀티이온빔 미래형 장비를 갖출 계획이다.

CT 장비를 이용한 영상유도 시스템을 적용해 치료 중 변화하는 종양의 크기나 위치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등 차별화된 시스템 도입을 추진해 정밀한 환자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박승일 서울아산병원장은 “2031년 중입자 치료기가 도입되면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암 치료 시설을 갖추게 된다”라며 “난치성 암 환자들의 치료 기회를 확대하고 국내 암 치료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아산병원은 매년 110만 명 이상의 암 환자를 치료하고 있으며, 2만여 건의 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국내 암 환자 8명 중 1명이 서울아산병원에서 치료받는 셈이다. 또한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시행한 2025 암 분야 세계 최고 병원 평가에서 5위에 선정되는 등 글로벌 암 병원으로서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바티칸 "전생을 주님·교회에 헌신"
  • 콜드플레이→BTS도 서울 떠난다…'고양'은 왜 스타들의 성지가 됐나 [이슈크래커]
  • “설레발은 필패, 입을 조심해야”…월드컵 역사를 수놓은 김칫국 한마당 [이슈크래커]
  • 음주운전자에게 "음주운전 왜 하세요?" 물어봤더니 [데이터클립]
  • 봉천동 아파트 방화 용의자는 과거 주민…층간소음 이웃 갈등 잦았다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서울 토허제 구역 내 입주권도 규제 대상…“준공 후 실거주 2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404,000
    • +2.17%
    • 이더리움
    • 2,266,000
    • -1.39%
    • 비트코인 캐시
    • 495,200
    • +1.93%
    • 리플
    • 2,993
    • -0.37%
    • 솔라나
    • 196,300
    • -1.26%
    • 에이다
    • 895
    • -0.56%
    • 이오스
    • 921
    • -3.46%
    • 트론
    • 354
    • -0.28%
    • 스텔라루멘
    • 365
    • +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820
    • +0.63%
    • 체인링크
    • 18,870
    • -3.53%
    • 샌드박스
    • 393
    • +0.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