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성장동력 확보한다…대규모 개발 사업 활발

입력 2025-04-09 13: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요 대형 개발사업 현황. (자료제공=부동산인포)
▲주요 대형 개발사업 현황. (자료제공=부동산인포)

서울과 부산 등 주요 도시에서 대규모 개발사업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지자체들이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고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려고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9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서울에서는 코레일이 정비창으로 쓰던 용산역 뒤편 부지 49만5000㎡를 용산국제업무지구로 개발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을 통해 일대를 세계적인 랜드마크로 변모시키겠다는 게 서울시의 계획이다.

이곳은 서울을 넘어 아시아·태평양의 중심이자 핵심으로 도약한다는 의미를 담은 '용산서울코어'란 이름이 붙었다. 개발을 통해 100층 안팎의 랜드마크 건물이 들어서고 사업 부지 면적과 맞먹는 50㎡의 입체녹지, 오피스, 호텔 등이 조성된다. 일대에는 1만3000가구의 주택도 공급될 예정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올해 말 도로, 공원 등 부지조성 작업 착공을 시작해 2030년부터 기업과 주민의 입주가 시작될 전망이다.

부산에서는 범천철도차량기지 개발과 북항재개발사업 등이 추진 중이다. 부산시는 범천철도차량기지를 4차 산업과 문화콘텐츠 등을 융합한 도심권 혁신파크로 조성해 일자리·주거·문화·관광을 아우르는 국내 대표 4차 산업 허브로 키울 생각이다.

북항 재개발은 1단계 사업이 기반 시설 공사를 마쳤고 2단계 사업이 본격화하고 있다. 부산시는 북항 해양문화지구에 88층 규모의 첨단 복합단지를 조성하는 사업도 추진 중이다.

대전에서는 메가 충청 스퀘어 조성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9500㎡,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을 짓는 프로젝트다.

용인에서는 SK하이닉스가 122조 원을 투입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가 올해 2월 착공했고 삼성전자가 이동·남사읍에 360조 원을 투자해 '첨단 시스템 반도체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한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서울 마포구 상암 DMC, 부산 해운대구 센텀시티 사례를 보면 대형 개발사업은 기업·인구 유입으로 지역 위상을 높인다"며 "도시의 지형을 바꾸고 경제적 활력을 불어넣는 만큼 일대 부동산 시장도 끌어올린다"고 말했다.

대형 개발이 인프라 개선과 일자리 창출, 도시 브랜드 가치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

한편, 쌍용건설은 부산 범천철도차량기지와 인접한 곳에 최고 48층 높이의 주거복합 단지 '쌍용 더 플래티넘 서면'을 다음 달 분양할 예정이다. 아파트 432가구와 오피스텔 36실 등 총 468가구 규모로 부산 지하철 2호선 부암역 초역세권이다.

대우건설은 반도체 클러스터 접근성이 좋은 곳에 들어서는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3단지' 분양을 앞두고 있다. 단지는 총 2043가구 규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글로벌 자금 빨아들이는 美…한국시장 투자는 ‘찬바람’만 [2025 ‘코피티션’ 中]
  • '애플 천하' 日 태블릿 시장, 삼성전자, 2%대 점유율 탈출할까
  • SK하이닉스, 1분기 영업익 '7조4405억'…"2분기 최고 실적 또 경신"
  • 은행 퇴직연금 수익률 ‘급락’…환차손·증시 불안 여파
  • 이커머스 시장 균열 오나…‘2%p 격차’ 네이버 맹공에 쿠팡 점유율 변화 주목
  • 구단 역사 쓴 한화의 '선발 8연승'…KBO 역사도 쓸까?
  • 새색시 에일리, 남편 최시훈과 결혼 여운 여전히…유재석부터 인순이, 손연재, 거미까지 총출동
  • '골때녀' 원더우먼, 월드클라쓰에 5-0 대승…'한일전 에이스' 마시마 멀티골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14: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2,722,000
    • -0.7%
    • 이더리움
    • 2,536,000
    • -1.67%
    • 비트코인 캐시
    • 514,500
    • -0.68%
    • 리플
    • 3,132
    • -1.94%
    • 솔라나
    • 212,200
    • -1.76%
    • 에이다
    • 979
    • -1.41%
    • 이오스
    • 930
    • -3.53%
    • 트론
    • 349
    • -1.97%
    • 스텔라루멘
    • 377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630
    • -1.62%
    • 체인링크
    • 20,760
    • -0.43%
    • 샌드박스
    • 410
    • -3.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