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의 '경제 청사진'…"지역이 국가 경쟁력"

입력 2025-04-09 15: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수도권 집중 투자→지역 분산으로 전환
부울경 '물류 허브', 호남 'ICT·그린 산업' 등
"청년 역할도 중요…50만 스타트업 육성"

▲대선 출마를 선언한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전 의원이 8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참배를 마치고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선 출마를 선언한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전 의원이 8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참배를 마치고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21대 대통령 출마를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이 수도권에 집중된 투자를 부산·충청 등 지역으로 분배하는 '분권 경제 체제' 구상을 밝혔다.

김 전 의원은 9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불안한 시대, 든든한 김두관, 대선 출마 기자 회견'을 갖고 "경제 성장 방식을 바꿔야 국가 경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제 위기의 강도가 깊어지고 넓어지고 있다. 경제 성장률은 지속적으로 떨어져 2%에 겨우 턱걸이 중"이라며 "2000년대 초반 5% 안팎이던 잠재성장률이 향후 10년간 연 1.6%로 떨어질 것이라고 한국은행은 내다봤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수도권에 집중된 투자를 지역으로 분산하는 '분권 경제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전 의원은 "서울은 수도권 국내총생산(GDP)의 절반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수도권은 대한민국의 현재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라며 "국가 자원을 과감하게 지역에 분배해 국가 경제 성장 축을 균형 있게 건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수도권(글로벌 금융, 반도체 국가전략 산업) △충청권(국가 행정수도 및 에너지 산업) △전라권(그린 산업 및 데이터 산업) △부울경(글로벌 금융 및 자유무역 물류 허브) △대구경북권(제조 및 청년 스마트벤처 산업)을 중심으로 '5대 초광역 메가 경제'를 꾸려가겠다고 설명했다.

경제 활성화에 있어 '청년'의 역할도 강조했다.

김 전 의원은 "'50만 청년 스타트업'을 육성해 세계 경제 전쟁에 투입할 경제 부대를 만들고, '100만 청년 기업인'을 양성해 부대를 지휘할 간부를 만들겠다"고 했다.

구체적으론 "청년들이 실패해도 재도전할 수 있도록 연간 50조 원 규모의 벤처 투자, 모태펀드 연간 15조 원까지 확대하고,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을 GDP 대비 8%까지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1극 압축 성장시대를 넘어, 분권 성장 시대로 가는 경제 혁명의 길에 힘을 실어달라"고 호소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일치기로 충분!…놀러 가기 좋은 '서울 근교' 핫플레이스 5곳
  • 돈 없는데 어린이날에 어버이날까지…예상 지출 금액은 '39만 원' [데이터클립]
  •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 황금연휴에는 역시 '마블'…2대 블랙 위도우의 '썬더볼츠*' [시네마천국]
  • 기재부 분리될까…대선에 걸린 예산권
  • 삼성물산? 현대건설?…전국구 '대장 아파트' 가장 많이 지은 건설사는 어디?
  • 미얀마 내전 개입하는 중국…반군 억제기로 부상
  • 관세 리스크 탈출 ‘대형 고객사’ 애플에 기대 거는 국내 부품사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120,000
    • -0.22%
    • 이더리움
    • 2,625,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515,000
    • -2.09%
    • 리플
    • 3,139
    • +0.22%
    • 솔라나
    • 208,800
    • -0.71%
    • 에이다
    • 995
    • +0%
    • 이오스
    • 1,016
    • -1.45%
    • 트론
    • 356
    • +0%
    • 스텔라루멘
    • 388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600
    • -1.22%
    • 체인링크
    • 20,230
    • -1.22%
    • 샌드박스
    • 400
    • -3.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