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유예 등 통상 현안과 관련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범석 기획재정부 제1차관 주재로 범정부 국내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분야별 관세 영향 등을 점검했다.
정부는 미국의 철강·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가 시행 중인 상황에서 상호관세 90일 유예에도 여전히 불확실성이 커 국내 경제 전 분야에 영향이 예상되는 만큼 기존 대응 체계를 범정부 TF로 확대했다.
TF는 글로벌 관세 부과에 따른 각 부문별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산하작업반을 운영하며 금융위원회·산업통상자원부·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중소벤처기업부 등 관련부처와 유관기관·연구기관·협회 등의 협업체계를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특히 부처 간 신속한 정보 공유와 공동 작업을 통해 관세 피해 분야에 대한 점검과 대응을 논의하고, 글로벌 관세전쟁 동향이 수시로 변하고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이에 따른 무역·산업·공급망 변화 등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해법도 논의할 계획이다.
관련 뉴스
또한 TF 점검 결과는 필요 시 경제관계장관회의 등 장관급 회의체 논의를 통해 범정부 차원에서 지속적인 후속 조치가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김 차관은 전담반 회의를 마치고 관계부처와 최근 외환시장 상황도 점검했다. 김 장관은 "미 상호관세 부과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진 만큼 정부는 현재 시장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국제금융시장 전반, 주요 국가 상황 등과 비교해 국내 시장 변동성이 지나치게 확대되는지 경계심을 갖고 살펴보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