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후보 등록…권역별 순회경선 후 27일 최종후보 확정

더불어민주당은 14일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를 선출하는 경선룰 및 경선 일정을 확정했다. 민주당의 대선 후보는 ‘권리당원 투표 50%·일반 국민 여론조사 50%’의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거쳐 선출될 예정이다. 15일 후보등록 후 권역별 4회 순회경선을 하고, 27일 최종 대선 후보가 선출된다.
민주당은 중앙당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오후 회의가 끝나고 결정된 선거 일정을 발표했다. 후보자 등록 신청은 15일 하루에 한해서 진행한다. 등록 기탁금은 예비 후보자 기탁금 1억 원, 본경선 후보자 기탁금은 3억 원으로 총 4억 원이다.
민주당은 이후 16일부터 27일까지 전국 순회경선을 진행한다. 충청권(16~19일), 영남권(17~20일), 호남권(24~26일), 수도권·강원·제주(24~27일) 순으로 12일간 실시되며, 권역별 경선 마지막 날에는 합동 연설회를 개최하고 해당 권역 투표 결과를 공개한다.
국민참여경선에 따라 진행되는 국민선거인단 투표는 21일부터 27일까지의 기간 중 이틀간 진행하기로 했다. 후보자 합동 토론회의 경우 18일 지상파 방송으로 실시한다. 최종후보는 순회경선의 마지막 날인 27일 권역별 경선 결과와 일반 국민선거인단 투표 결과를 합산해 확정될 예정이다.
관련 뉴스
앞서 민주당은 중앙위원회를 열어 국민참여경선 방식의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에 관한 특별당규’ 제정의 건을 의결했다.
중앙위원과 권리당원 온라인 투표 최종 결과는 찬성 96.56%, 반대 3.44%로 집계됐다. 중앙위원은 590명 중 510명이 투표에 참여해 찬성 492명(반대 18명), 96.47%의 찬성률을 보였고, 권리당원은 114만 749명 중 38만 9033명(34.1%)이 참여해 37만 5978명(96.64%)이 찬성표를 던졌다.
민주당의 이번 대선 경선룰인 ‘국민참여경선’은 앞선 2017년, 2022년 대선 경선 때 진행했던 ‘국민경선’과는 다른 방식이다. 당시에는 선거인단으로 모집된 일반 국민과 대의원, 권리당원에게 모두 동일한 1인 1표를 보장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경선 규칙을 올해도 적용하면 특정 후보를 떨어뜨리기 위해 다른 정당 지지자들이 집단적인 역선택을 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고, 방지 차원에서 경선룰을 바꿨다는 게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