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세계 혈액 공급 위협한다”

입력 2025-04-17 16: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후변화와 헌혈 관계 분석한 최초 연구

▲병원에서 혈액 시험관에 스티커를 부착하고 있다. 멜리토폴(우크라이나)/타스연합뉴스
▲병원에서 혈액 시험관에 스티커를 부착하고 있다. 멜리토폴(우크라이나)/타스연합뉴스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 혈액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서 헌혈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전했다.

이달 국제학술지 란셋 플래니터리 헬스에 게재된 ‘압박받는 혈액: 기후변화가 혈액 안전성과 공급망을 위협하는 방식’에 따르면 지구온난화로 인해 발생하는 극한의 기상 현상 등으로 혈액 수집과 검사, 운반 및 보관이 어려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해당 연구는 기후변화가 혈액 공급망의 각 단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 사례다.

산불이나 홍수, 자연재해 그리고 극한의 기상 현상은 헌혈자들이 헌혈 장소로 이동하는 일을 어렵게 만들 뿐 아니라 유통기한이 짧고 온도 변화에 매우 민감한 혈액의 원활한 운송을 막기 때문이다.

지난달 호주 퀸즐랜드와 뉴사우스웨일스 전역에 심각한 홍수 피해를 유발한 열대성 사이클론 알프레드로 3500건 이상의 헌혈 예약이 취소돼 호주의 혈액 재고가 급격히 감소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보고서의 공동 저자이자 호주 적십자 산하 혈액관리기관인 라이프블러드의 연구원인 엘비나 비에넷은 “호주에서 처음으로 기상 현상이 혈액 공급에 전례 없는 영향을 미친 사례”라며 “혈액의 중요성을 감안한다면 이 연구의 의미는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기후변화의 위험성은 혈액 감염 가능성을 높이는 데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뎅기열이나 웨스트나일바이러스, 말라리아 등 혈액을 통해 전염되는 질병에 적합한 온도의 지역이 늘면서 수혈을 통한 감염성을 높일 가능성이 크다.

기후변화로 인해 곤충 매개 및 인수공통전염병으로 인한 새로운 위협도 더해지는 상황이다. 또한 공급의 문제뿐만 아니라 고온과 저온 및 기타 기후변화를 포함한 극한의 날씨는 임신 합병증, 심혈관 질환 등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수혈 수요도 증가시킨다.

보고서는 따라서 혈액 은행시스템이 기후변화에 따른 위험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0조로 빚 탕감', '차별금지법 반대'…대선 후보들의 이색 공약
  • 직진·환승, 그리고 오열…도파민 터지는 '레전드 연프' 정주행 해볼까
  • '헌 폰도 새 폰처럼' 갤럭시 S24 사용자가 '원 UI 7.0' 써보니
  • 달리는 '李'에 태클 건 대법원?…대선판 흔들리나
  • 어린이날ㆍ석가탄신일 낀 황금연휴…전국 행사 총정리 [주말N축제]
  • 강남에서 2800가구 평당 8400만원은 넘어야…대한민국 '대장 아파트' 살펴보니
  • 어린이날 황금연휴 시작…가족ㆍ연인과 즐길 만한 문화 나들이는?
  • “즐거운 연휴 신차 시승·모터사이클 전시 즐겨보세요”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499,000
    • -1.83%
    • 이더리움
    • 2,617,000
    • -1.8%
    • 비트코인 캐시
    • 527,000
    • -1.13%
    • 리플
    • 3,157
    • -1.62%
    • 솔라나
    • 211,400
    • -2.58%
    • 에이다
    • 994
    • -3.78%
    • 이오스
    • 1,022
    • -0.68%
    • 트론
    • 354
    • +0.28%
    • 스텔라루멘
    • 390
    • -2.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250
    • -10.63%
    • 체인링크
    • 20,690
    • -3.63%
    • 샌드박스
    • 425
    • -4.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