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유영중 카카오모빌리티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사내 메시지를 통해 "카카오에 확인 결과 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의 핵심사업 포트폴리오로서 카카오의 경영권 매각 의사는 없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유 CFO는 "카카오모빌리티 재무적 투자자(FI) 교체 방안에 대해 주주사와 투자사 간 검토가 진행된 바는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거래 조건 등이 확정된 단계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최근 카카오모빌리티는 재무적투자자(FI)를 교체하기 위한 협의 과정을 거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유력한 인수 후보로 꼽히는 국내 운용사인 VIG파트너스가 TPG(29.04%), 칼라일(6.18%), 한국투자증권·오릭스PE(5.35%) 등이 보유한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약 40% 이상을 인수하는 거래를 추진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사모펀드로 매각설이 나온 것이다.
이번 딜이 성사될 경우 VIG는 카카오모빌리티의 2대 주주로 올라서게된다. 현재 카카오모빌리티의 최대주주는 지분 57.3%를 보유한 카카오다.
AI 추천 뉴스
이날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화섬식품노조) 카카오지회(크루유니언)는 서울 영등포구 한국산업은행 본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모펀드가 인수한 이후의 국내 택시산업은 높은 수수료율과 수많은 유료 부가서비스로 실제 이용자의 사용에 큰 장애를 초래할 것"이라며 매각 반대에 나섰다.
화섬식품노조 카카오지회 이정대 사무장은 "카카오모빌리티가 서비스하는 카카오T 플랫폼에는 4000만 국민의 이동데이터가 고스란히 담겨 있고 상생하는 플랫폼으로서 택시, 대리, 퀵서비스 등 다양한 플랫폼 노동자들의 일터"라며 "이곳에 약탈적 경영 활동으로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사모펀드가 들어온다면 사용자들은 높은 수수료를 부담하게 될 것이고 플랫폼노동자들을 착취하는 구조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서비스를 만드는 카카오모빌리티의 크루들은 비용절감을 핑계로 노동조건의 악화, 구조조정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며 "돈이 된다면 사모펀드는 데이터든 부동산이든 노동자든 남김없이 팔아치울 것이기 때문에 국민들의 이동데이터는 어디로 팔려가게 될지도 모를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