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투르크메니스탄 국영 화학사와 비료 플랜트 사업 기본합의 체결

입력 2025-04-18 14: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보현(왼쪽 두 번째) 대우건설 사장과 도브란겔디 사파예프 (Dovrangeldi Sapbayev) 투르크메니스탄 국영화학공사 회장이 기본합의서에 서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대우건설)
▲김보현(왼쪽 두 번째) 대우건설 사장과 도브란겔디 사파예프 (Dovrangeldi Sapbayev) 투르크메니스탄 국영화학공사 회장이 기본합의서에 서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대우건설)

대우건설은 투르크메니스탄 국영화학공사와 미네랄비료 플랜트 건설 사업에 대한 기본합의서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김보현 대우건설 사장과 도브란겔디 사파예프(Dovrangeldi Sapbayev) 투르크메니스탄 국영화학공사 회장이 참석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바이무라트 안나맘메도프(Baymyrat Annamammedov) 투르크메니스탄 건설·산업부총리도 자리했다.

투르크메나밧 미네랄비료공장 프로젝트는 투르크메니스탄의 수도 아슈하바트 동쪽으로 약 450㎞ 떨어져 있는 제2의 도시 투르크메나밧에 위치한 비료공장 건설 프로젝트로 연산 35만 톤의 인산비료, 황산암모늄 연산 10만 톤의 생산설비 및 부대시설을 건설하는 공사다.

투르크메니스탄은 중앙아시아의 자원 부국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이며 석유화학, 인프라, 신도시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규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우건설은 투르크메니스탄 진출을 위해 정원주 회장이 매년 현지를 방문해왔으며 2023년 말 지사를 설립해 현지화를 위한 전초기지를 마련하기도 했다.

대우건설은 이번 합의서 체결과 양국 주요 인사의 면담을 통해 미네랄 비료 플랜트 사업 진행에 힘이 실리게 되어 올해 안에 본계약 체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투르크메니스탄은 중앙아시아 건설 시장의 거점 국가로 계획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곳”이라며 “지속성장가능한 미래를 위해 해외 분야 확대는 필수조건이라고 판단하고 있으며, 신규시장 개척과 거점시장에서의 사업다변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주·국힘, 추경 13.8조 합의…정부안보다 1.6조 증액
  • "자녀가 겨우 도와줘" 유심 해킹 혼란 속 드러난 '디지털 격차'
  • 끝내 돌아오지 않은 의대생들…10명 중 7명 유급되나
  • 검찰, 尹 전 대통령 ‘직권남용’ 불구속기소
  • 한덕수, 총리서 대선주자로...빅텐트 성사·대선 완주 '관건'
  • 되살아난 '사법리스크'…李, 변수 안고 '완주' 전망
  • 5개 재판 중 첫 대법 판단…대통령 당선 땐 재판 멈출까
  • 수출 3개월 연속 '플러스'...트럼프發 관세 정책에 대미 수출은 6.8%↓[종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460,000
    • +0.68%
    • 이더리움
    • 2,618,000
    • +0.77%
    • 비트코인 캐시
    • 528,000
    • +0.28%
    • 리플
    • 3,188
    • -0.69%
    • 솔라나
    • 217,600
    • +2.79%
    • 에이다
    • 1,009
    • +0.6%
    • 이오스
    • 977
    • -0.91%
    • 트론
    • 357
    • +1.13%
    • 스텔라루멘
    • 395
    • -1.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150
    • +0.46%
    • 체인링크
    • 21,400
    • +2.1%
    • 샌드박스
    • 434
    • +1.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