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는 21일부터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톡 등 민간 플랫폼을 활용한 공공시설 예약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대상 시설은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보유한 전국 1200여 개 체육시설과 회의실이다. 현재 공공시설 예약은 공유누리 누리집에서만 가능해 접근성이 떨어진다. 이번 서비스는 공유누리와 민간 플랫폼을 연계한 첫 사례다.
앞으로 네이버 지도에서 풋살장, 회의실 등 시설명을 검색하면 예약 가능한 공공시설이 지도에 표시된다. 카카오톡은 하단의 ‘더보기’ 내 ‘예약하기’ 메뉴에서 공공시설 정보가 안내된다.
행안부는 유휴시간을 활용해 개방하는 공공시설 특성을 고려해 즉시 예약 방식과 승인 예약 방식으로 나눠 운영할 예정이다. 단, 위치상 접근이 어렵거나 회원제로 운영하는 시설, 공사 중이거나 이용을 제한하는 시설은 제한한다. 아울러 행안부는 자동추천 기능과 맞춤형 검색기능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공유누리 서비스의 편의성을 높이고, 하반기에는 우리은행·기업은행 누리집과 애플리케이션(앱)에서도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앞으로 공공자원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국민이 일상에서 공공자원을 더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누리 서비스를 개선하며, 민간 플랫폼과 연계도 계속 확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