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이앤씨, 충북 영동양수발전소 착공식…‘아파트 143층 높이’ 뚫는다

입력 2025-04-21 08: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영동양수발전소 조감도. 상부 댐(오른쪽)의 물을 하부 댐으로 낙하시켜 전력을 생산한다. (사진제공=DL이앤씨)
▲영동양수발전소 조감도. 상부 댐(오른쪽)의 물을 하부 댐으로 낙하시켜 전력을 생산한다. (사진제공=DL이앤씨)

DL이앤씨가 충북 영동군 영동양수발전소 건설 공사를 위한 착공식을 열었다고 21일 밝혔다.

착공식은 지난 17일 개최됐다. 양수(揚水)발전은 높이 차이가 나는 두 개의 댐을 두고, 전기가 남을 때 하부 댐에 있는 물을 상부로 끌어올렸다가 수요가 많을 때 물을 떨어뜨려 전력을 생산하는 수력발전이다.

충북 영동군 상촌면과 양강면 일대에 118만㎡(약 36만 평) 크기로 조성될 영동양수발전소의 전력 용량은 500㎿(메가와트) 규모다. 이는 약 11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DL이앤씨는 지난해 8월 총사업비 5034억 원 규모의 영동양수발전소 건설 공사를 수주했다. 이는 한국수력원자력이 13년 만에 신규로 추진하는 양수발전 사업으로 2030년 준공될 예정이다. 국내에서 양수발전소가 지어진 것은 2011년 예천양수발전소가 마지막으로 당시 이 발전소도 DL이앤씨가 건설했다.

DL이앤씨는 이란 카룬댐, 파키스탄 굴푸르 수력발전소, 인도네시아 카리안댐 등 수력발전·댐 분야에서 국내 업계 최다 시공 실적을 자랑한다. 특히 물과 전기의 특징이 혼합된 양수발전소는 높은 내구성과 안정성을 요구한다. 상부 댐과 하부 댐을 연결하기 위해 아파트 약 143층 높이인 430m의 수직 터널을 건설해야 하는 고난도 작업도 포함돼 있다.

양수발전소는 신재생 에너지 중요도가 주목받는 가운데 친환경 발전으로 각광받고 있다. 정부는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1.75GW(기가와트) 규모 양수발전소를 늘리겠다고 밝혔다. 건설 중이거나 건설이 예정된 양수발전소는 강원 홍천군, 전남 구례군 등 9곳에 들어선다.

DL이앤씨 관계자는 “DL이앤씨는 국내 마지막 양수발전소를 준공한 건설사이면서 13년 만에 다시 시작하는 건설사”라며 “이번 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에너지 안보 강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딸기 가고, '말차' 왔다!…초록빛에 진심인 요즘 감성 [솔드아웃]
  • 증권업 재진출 이어 보험사까지…임종룡 '뚝심' 통했다
  • SKT 유심 대란이 드러낸 ‘통신비’의 실체…‘다크패턴’ 확인해보세요 [해시태그]
  • 배터리 한 모금으로 세계를 설득한 왕촨푸…왕 회장과 BYD의 진정한 꿈은 [셀럽의카]
  • 비트코인, 美 증시와 동반 상승…한때 9만7000달러 터치 [Bit코인]
  • 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 SKT, 해킹 여파에 시총 1조 증발…KT·LGU+, 주가 고공행진 ‘반사이익’
  • “하늘이 노했다?” 서울 하늘 덮은 특이 구름, 5월 연휴 날씨 전망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824,000
    • -0.81%
    • 이더리움
    • 2,639,000
    • -1.57%
    • 비트코인 캐시
    • 543,500
    • +2.64%
    • 리플
    • 3,170
    • -1.95%
    • 솔라나
    • 214,400
    • -2.19%
    • 에이다
    • 1,009
    • -0.88%
    • 이오스
    • 1,055
    • +6.78%
    • 트론
    • 351
    • -1.4%
    • 스텔라루멘
    • 394
    • -1.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000
    • +2.28%
    • 체인링크
    • 21,200
    • -1.44%
    • 샌드박스
    • 436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