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환경공단, 고준위 방폐물 관리 허브기관 도약

입력 2025-04-23 16: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38년 부지선정·2060년 처분시설 운영까지 중장기 로드맵 제시

▲조성돈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이 23일 본사에서 ‘고준위 방폐물 관리사업 비전 선포식’을 열고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원자력환경공단)
▲조성돈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이 23일 본사에서 ‘고준위 방폐물 관리사업 비전 선포식’을 열고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하 공단)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사업의 비전을 공식 선포하고, 국가 방폐물 관리 전담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공단은 23일 본사 코라드홀에서 ‘고준위 방폐물 관리사업 비전 선포식’을 열고 장기적 추진전략을 공개했다.

이날 행사에는 공단 전임 이사장들과 정재학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장, 이기복 한국원자력학회장, 김영석 대한지질학회장, 동반성장협의회 양태호 회장, 공단 사외이사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고준위 방폐물, KORAD와 함께 GO!’라는 구호를 외치며 비전 퍼포먼스도 함께 진행했다.

공단은 '수레바퀴의 허브처럼 기술개발이 필요한 곳, 인력양성이 필요한 곳, 기자재와 설비가 필요한 곳에 적절히 자원이 흘러 들어가도록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는 고준위 방폐물 관리사업의 비전을 제시했다.

김유광 원자력환경공단 고준위기획실장은 정부 로드맵에 발맞춰 2038년까지 관리시설 부지를 선정하고, 2050년 중간저장시설 확보, 2060년 최종처분시설 운영을 중장기 목표로 제시했다.

2026년에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부지 공모에 착수하고, 유치지역에 대한 범정부 지원방안을 수립해 사회적 합의를 기반으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조천형 고준위기술개발원장은 2029년까지 4300억 원 규모의 다부처 연구과제를 통해 운반·저장·처분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전체 R&D와 인프라 투자에는 총 1조7000억 원이 투입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단은 지난해 강원도 태백시에 확보한 지하연구시설(URL)을 활용해 2030년부터 실제 처분환경과 유사한 500m 심부 지하에서 기술 성과를 검증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부지평가 기술과 함께 독자적인 한국형 처분시스템(KORADIS)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조성돈 공단 이사장은 “고준위특별법 제정은 원자력계 모두가 일궈낸 소중한 결과이며, 이를 계기로 공단이 고준위 방폐물 관리사업을 추진할 수 있음을 증명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중장기 사업 목표를 반드시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정재학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장은 “공단이 고준위 방폐물 관리사업을 통해 국민이 신뢰하는 방폐물 관리 선도기관으로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도록 학회도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공단은 9월 고준위특별법 시행에 맞춰 하위법령 제정 및 고준위 방폐물 관리위원회 출범 이후 곧바로 관리시설 부지선정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오늘 오후 3시 전원합의체 선고…TV 등 생중계
  • "자녀가 겨우 도와줘" 유심 해킹 혼란 속 드러난 '디지털 격차'
  • 끝내 돌아오지 않은 의대생들…10명 중 7명 유급되나
  • 26조 원 체코 원전 수주 확정…5월 7일 최종 계약 [종합]
  • "남돌의 은혜가 끝이 없네"…'5월 컴백 대전'의 진짜 이유 [엔터로그]
  • 근로자이지만 근로자가 아니라는 ‘근로자의 날’ 이야기 [해시태그]
  • 1막 내리는 LCK, 서부권 '젠한딮농티' 확정?…T1 지고 농심 떠올랐다 [이슈크래커]
  • [종합] 뉴욕증시, 미국 3년만 분기경제 역성장에 혼조 마감...다우 0.35%↑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581,000
    • +0.14%
    • 이더리움
    • 2,607,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532,000
    • +2.41%
    • 리플
    • 3,183
    • -1.27%
    • 솔라나
    • 214,500
    • +1.42%
    • 에이다
    • 995
    • -1.39%
    • 이오스
    • 977
    • -1.01%
    • 트론
    • 357
    • +1.42%
    • 스텔라루멘
    • 394
    • -1.9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700
    • -0.36%
    • 체인링크
    • 20,990
    • -0.76%
    • 샌드박스
    • 429
    • +1.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