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업종별 동반성장 전략 확산”

입력 2011-03-18 09: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동차·조선 등 업종별 동반성장 프로그램 대표사례 발표

정부와 재계가 손을 잡고 동반성장 길 찾기에 나섰다.

지식경제부는 최중경 장관 주재로 대중소기업 CEO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동반성장 전략 확산 민관 합동회의를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수립된 자동차, 조선 등 11개 업종별 동반성장 추진계획 이행 현황을 파악하고 대·중소기업의 동반성장 프로그램 대표사례를 공유하기위해 마련됐다.

자동차 업계는 ‘동반성장 가이드라인’ 수립 등 업계 자율적인 공정거래 질서를 확립 및 완성차 업체 납품대금 전액을 현금결제를 시행하고 있다. 또 원자재 일괄 공급 적용 범위를 1차에서 2차 협력사로 확대한다.

조선·기계 업계는 지난달 300억원의 민관 공동기술개발 펀드를 조성했으며 동반성장 펀드 등 협력업체에 대한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현대중공업과 두산중공업, 두산인프라코어, STX엔진 등 4개사는 6월 ‘기계산업 동반성장 진흥재단’을 설립해 기계산업에 특화된 지원을 할 예정이다.

철강·석유화학 업계는 철스크랩 공급사와 어음할인기간 축소 협약 체결과 수요 준소기업에 공급하는 합성수지와 관련해 1개월 가격예시제를 100% 시행하고 있다. 또 90일 이상의 어음 할인 기간을 올해말까지 60일로 단축할 예정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휴대폰 등 전자 업계도 6월 시스템 반도체 동반육성전략을 수립하고 지경부와 함께 소프트웨어 인력을 연수를 통해 채용하는 ‘소프트웨어 채용 연수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섬유·SW업계는 화섬-직물 업종간 가격 및 임가공 단가 자율조정 기반 조성을 통해 ‘국자정보하 수.발주제도 개선 방안’을 지난달 수립했다.

유통업계는 유통-제조업체 브랜드 공동표기 등 중소기업 마테팅 기반을 확충하고 이마트와 롯데마트 등 유통 업계는 중소 납품업체의 해외 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현금 결제도 100% 하기로 했다.

최중경 장관은 “동반성장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대.중소 기업의 적극적 관심과 자발적인 노력이 뒷받침 돼야 한다”며 “업종별로 수립한 실행계획이 차질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각 업종의 동반성장 대표사례가 타업종으로 확산될수 있도록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한 “정부도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월드클래스 300' 등 다양한 시책을 통한 중소기업 역량강화를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3→2.1→1.9→1.5%→?’ 하락하는 韓 경제…분기 단위, 9개월 만에 역성장 마주
  • 트럼프 앓고 있다는 ‘광선 각화증’ 어떤 병
  • 흥행 참패로 게임계 정치적 올바름 열풍을 식게 만든 ‘망작 5선’ [딥인더게임]
  • 오늘 민주당 첫 순회경선…'李 1강' 변화 생길까
  • 육성재·김지연 주연 로맨스 코미디 ‘귀궁’…넷플릭스, 사랑 가득 신작 공개
  • 나들이의 계절…익산 국가유산 야행부터 대전과학기술축제까지 [주말N축제]
  • [인터뷰] 제이슨 아티엔자 “한국 다채로운 공간에 영감…언젠간 내 조형물 설치하고파”
  • 실기·활동 없어도 예체능 학과 진학…논술·교과 전형 주목해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044,000
    • +0.56%
    • 이더리움
    • 2,336,000
    • +1.39%
    • 비트코인 캐시
    • 483,700
    • -2.01%
    • 리플
    • 3,016
    • +0.3%
    • 솔라나
    • 200,200
    • +3.36%
    • 에이다
    • 906
    • -0.33%
    • 이오스
    • 920
    • +0.66%
    • 트론
    • 350
    • +0%
    • 스텔라루멘
    • 357
    • +1.4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90
    • +0.14%
    • 체인링크
    • 18,680
    • +2.19%
    • 샌드박스
    • 386
    • +2.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