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5월말 기준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85%로 전월말 대비 0.06%포인트 상승했다. 최근 연체가 상승하고 있는 집단대출을 제외하더라도 전월말보다 0.4%포인트 오른 0.43%로 집계됐다. 같은기간 가계대출 연체율은 0.97%로 나타났다.
문제는 1%대에도 못 미치는 연체율 수치 속에 계산돼 있는 대출자들의 상환 능력이다. 최근 금융당국 및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총 306조5000억원의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원금이 아닌 이자만 내는 대출은 76.8%(235조4000억원)를 차지한 것으로 산출됐다.
또한 내년까지 거치기간이 끝나거나 대출 만기가 돌아오는 금액은 128조원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금융당국은 큰 문제가 없다는 분위기다. 권혁세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충남대학교에서 열린 캠퍼스 토크에서 기존의 가계부채 대출은 걱정이 없는 반면 신규 대출에 대한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원금상환을 본격적으로 해야하는 가구가 부담을 떨치기는 힘들것이란 의견이 다수다.
KB금융경영연구소가 통계청의 지난해 가계금융조사를 분석한 결과 이자만 내던 가구가 원금 상환에 들어가면 소득 중 원리금 상환비율이 평균 49.1%에 이른다.
이는 곧, 소득의 절반 가까이 빚을 갚는 데 쓰는 전형적인 '하우스 푸어'로 전락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단 의미다.
이에 금융당국은 프리워크아웃(사전채무조정) 추진을 계획하고 있다. 이미 금융감독원은 시중은행 여신담당 부행장들과 회의를 열고 도입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프리워크아웃은 1개월 미만 단기 연체가 반복되는 저신용자에게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유인 즉, 한 달 미만 연체가 부실채권으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단기 연체가 장기화될 경우 결국 부실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은행들이 자체 프리워크아웃을 운영하면 신용회복위원회의 프리워크아웃(1~3개월 연체자)과 개인워크아웃(3개월 이상 연체자)에 앞서 가계의 파산을 막는 완충장치가 추가된다. 금감원은 프리워크아웃을 통해 잠재적 부실 위험군의 채무를 미리 조정하면 충당금 적립 부담이 줄어드는 등 은행 건전성에도 보탬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