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는 몇몇 다른 증권사들의 금리 수치를 낮춰 입력했기 때문이다.
CD금리 담합의혹이 불거지고 있는 이유는 구조적으로 CD금리의 산출과정이 허술하기 때문이다. 담당직원도 CD거래 경험이 거의 없는 입사 3년차 미만 증권사 직원들이다. 때문에 전문성과 객관성이 결여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여러번 제기됐었다.
금융투자협회는 매일 오전 11시30분과 오후 3시30분 리딩투자, 메리츠종금 등 10개 증권사로부터 적정 CD금리를 보고 받는다. 이후 최고, 최저 2개를 제외한 8개를 평균해 낮 12시와 오후 4시 고시금리를 홈페이지에 올린다. 수천 조원대의 시장을 움직이는 CD금리가 단 10개 증권사 보고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셈이다.
보고 회사 수가 적다보니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여지가 높고 공정성을 담보하기도 힘들다.
더 큰 문제는 담당자들의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CD금리 입력 담당자를 각 회사의 부서장이나 부장급 이상으로 권한을 제한했지만 실제로는 CD거래 경험이 거의 없는 입사 3년차 직원들이 그 일을 대신하고 있다. 금융 감독당국이 CD금리 문제와 관련해 제도 개선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도 이번 사태를 촉발시킨 원인이 됐다
이처럼 잡음도 많고 실익도 없자 대형사들은 발을 빼고 있다. 현재 CD금리 보고사는 업계 중상위권까지 내려온 상황이다.
A증권사 관계자는 “CD유통물량이 거의 없어 3개월물 국고채의 등락을 보고 CD금리 보고를 내기도 한다”며 “다른 금리가 오르면 0.01%포인트 올려 적고 아니면 그냥 두는 식”이라고 전했다.
이어 “2년전 예대율 규제가 도입되면서 은행의 CD발행이 급감해 CD유통시장의 왜곡이 심화되고 있다”라며 “보고를 담당하는 증권사에게 돌아오는 실익도 없어 상위권사들은 담당 업무를 맡으려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CD금리에 잡음이 생겨난 이유는 CD발행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8년 20조원에 달했던 시장성 CD잔액은 올 들어 2조4000억원 수준까지 쪼그라들면서 지표금리로서의 대표성이 크게 약화됐다. 이에 대해 박종수 금융투자협회 회장은 “CD금리 무용론이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서 하루속히 CD금리를 대체할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