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중은행들이 양도성예금증서(CD)를 발행하고 있지 않아 내달 초 시장에서 완전히 사라질 위기에 처하면서 파생상품시장에 불똥이 튀고 있다.
CD금리와 연계된 파생상품 시장 규모가 지난 1분기 기준으로 4458조원(명목금액 기준)에 달하고 있어 CD가 사라지면 큰 혼란에 빠질 우려가 높다.
황세운 자본시장 연구원 연구위원 “CD발행 물량이 없다면 9월 6일 300~400억 가량 CD발행 물량의 만기 도래하면 CD잔액이 제로(0)가 된다”고 밝혔다.
이 경우 CD유통금리는 물론 CD연동 대출금리 산정이 곤란해져 현재 CD수익률 3.21% 안팎에서 적용할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현재 CD수익률 3.21%는 시중금리보다 높기 때문에 파생상품시장에 적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는 견해가 많다. 문제는 기초가 되는 CD발행 물량이 없으면 산정할 수 있는 CD금리가 없어 파생상품시장 혼란이 불가피하다. 특히 신규상품의 경우 기존 CD금리를 적용할 경우 수요가 없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CD금리에 연계된 파생상품시장에서 금리스와프 거래시장 규모는 4400조원, 변동금리부사채(FRN)시장은 7조원 가량 규모다. 금리스와프는 1년물부터 10년물, 20년물이 거래되는데 이자는 매일 CD금리를 평가해 3개월이나 6개월 단위로 주고받는다. 적용할 CD금리가 없어지면 시장거래 형성 자체가 되지 않는데다 기존 CD금리를 적용하기에는 이자가 비싸 문제가 많다. 당장 다른 단기지표 금리로 대처하기에도 계약당사자들이 매일매일 시가평가를 하기 때문에 각 계약의 청산과 포지션 재구축 등이 일어나 혼란 발생이 불가피하다.
정인석 다이와증권 전무는 “코리보는 실거래가가 아니고 추정치인데다 조작할 가능성도 있어 지표금리로 사용하기 힘들다”며 “코픽스금리도 후행적인데다 은행들이 자의적으로 금리를 조정할 수 있어 지표금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그는 “조속히 CD 발행유통시장을 활성화해 종전과 같이 CD금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영도 금융연구원 연구위원도 “자금시장의 지표금리로 코픽스 사용은 불가해 CD금리를 폐지할 경우 큰 혼란이 올 수 있다”고 밝혔다.
김영도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당장 은행들이 CD발행 물량을 늘려 CD유통시장을 활성화시키는 방법 밖에 없다”며 “기존 논의되는 대안금리 대신 다른 대안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시간을 두고 자연스럽게 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