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도엽 "인수위 보고 3월 이후 구체화"…부동산 대책 늦어질듯

입력 2013-02-06 17: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권도엽 국토해양부 장관은 6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보고한 내용들은 구체적인 것이 아니다. 새 장관이 들어오고 새 내각이 구성되면 디테일(세밀하게)하게 마련할 것"이라며 "오는 3월 정도 돼야 구체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 장관은 이날 국토부 출입기자들과 만나 "과거 인수위원회는 (구체적인 정책을 내용들을) 발표 했지만 이번 인수위는 인수인계만 한다" 며 이같이 밝혔다.

권 장관의 이같은 발언은 이달 안에 새 정부의 부동산 정상화 대책을 비롯, 행복주택 등의 국정과제 발표가 이뤄지기 어렵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지난달 박근혜 당선인이 인수위에 부동산 대책을 지시했지만 정작 대책은 3월 이후에 나올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권 장관은 임대주택 사업에 대해서는 연기금 등 장기적으로 자금을 운용하는 기관이 참여해야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권 장관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전국의 임대주택을 모두 커버하는 방식은 조금 변화해야 한다"며 "민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 장관은 4대강 사업에 대해 "전체적으로 큰 수술을 끝내고 회복하는 단계에 있다"며 "스크래치도 있고 피도 묻어 있지만 전체적으로 수술은 아주 잘됐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권 장관은 또 "생태적 건강성을 나타내는 지표종인 수달이 공주보 등에 나타난 것은 이런 보 주변에 먹이가 풍부해졌기 때문 아니겠느냐"며 "수중 생태계가 건강한 쪽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권 장관은 태국 치수사업 숏리스트 선정에 대해 "오는 4월 12조원 규모의 태국 물 관리 프로젝트가 최종 확정되는데 수자원공사가 일본, 중국과 함께 최종 3개 후보업체에 포함됐다"며 "좋은 성과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권 장관은 KTX 경쟁체제 도입과 관련 "논란이 되는 자체가 이상하다. 독점체제가 좋은 일부 사람들이 있다. 독점의 수혜자들"이라며 "항공, 통신 등이 경쟁으로 바뀌었는데 공기업 독점이 유일하게 남아있는 게 철도운영 분야"라고 강조했다.

권 장관은 퇴임이후 거취를 묻는 질문에는 "현재 택시문제, 4대강 문제 등 현안이 많아서 생각할 겨를이 없었다"며 "퇴임후 본격 고민해 보겠다"고 답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현대차,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공개…도요타 아성에 ‘도전장’
  • 나랏빚 빨간불...추경 편성으로 '적자성 채무' 900조 육박
  • 이재명, 영남서 대세 굳히나…김경수·김동연 반전 도전
  • 금리 인하기 리츠 리파이낸싱 ‘탄력’…자산 편입 기대감도
  • ‘불닭 신화’ 이룬 삼양식품…임직원 근속은 뒷걸음질[유통업 지속가능 보고서⑦]
  • 1년 200만 번 테스트…LG U+ 대전 R&D센터 [가보니]
  • 토허제 후폭풍에 증시 혼란까지…주담대·신용대출 다 늘었다
  • '그알' 아산 마약 음료 사망 사건, 전 남자친구가 범인?…"죽은 사람은 말이 없어" 증거인멸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028,000
    • +0.4%
    • 이더리움
    • 2,334,000
    • +1.3%
    • 비트코인 캐시
    • 488,800
    • +0.27%
    • 리플
    • 3,010
    • +0.13%
    • 솔라나
    • 204,600
    • +3.18%
    • 에이다
    • 913
    • -0.22%
    • 이오스
    • 933
    • +2.64%
    • 트론
    • 353
    • +0.86%
    • 스텔라루멘
    • 356
    • +1.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710
    • +0.05%
    • 체인링크
    • 18,730
    • +1.74%
    • 샌드박스
    • 386
    • -0.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