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한' 커피값… 원두값 폭락에도 25% 인상

입력 2013-10-08 10: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우유가격 인상을 틈타 유업체들이 자사 커피값을 최대 25% 까지 대폭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커피 원두가격이 2년 만에 60% 이상 폭락한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이번 무더기 인상에 대해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서울우유는 지난달 말 우유값 인상과 함께 자사 커피음료 제품 4종의 가격을 올렸다. 편의점 판매가 기준으로 도토루카페라떼와 도토루카페모카 모두 1200원에서 14000원으로 16.7% 인상했다. 우유가격(10.9%↑)보다 5.8%나 높은 수치다. 도토루엑스퍼트카페오레와 도토루엑스퍼트카페모카 역시 1400원에서 1600원으로 14.2% 올렸다. 역시 우유값 인상 폭보다 높게 책정됐다.

우유 함량이 비교적 많은 매일유업의 우유속모카치노(310㎖)와 우유속마끼야또(310㎖)는 지난 27일부터 1200원에서 25% 뛴 1500원에 판매되고 있다. 카페베네와 유업체 푸르밀이 함께 만든 카페베네오곡라떼(300㎖)와 카페베네모카, 카페베네라떼 등 3종도 1400원에서 1500원으로 7.1% 인상됐다.

이들 커피음료는 편의점과 대형마트 등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대부분 우유 함량이 높아 이번 가격인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국제 커피원두 가격이 폭락하는 상황에서 원유가격 인상율보다 높게 가격을 책정한 부분은 과도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빙그레는 우유가 하나도 들어가 있지 않은 아카페라아메리카노를 비롯한 총 9종의 커피음료를 모두 1500원에서 6.7% 인상된 1600원에 판매하고 있다.

커피 원두 선물 가격은 아라비카 기준으로 지난 2011년 4월 파운드당 최고 302센트에 거래됐지만 지난해 초 200센트, 올 8월에는 115센트로 2011년 고점 대비 60% 가량 폭락했다. 국내 최대 커피업체 동서식품은 원두 가격 하락을 이유로 9월 초 원두커피 20종, 맥심 인스턴트커피 및 커피믹스 전 제품, 카누 전 제품 등의 출고 가격을 5~10% 가량 인하했다.

반면 한국인들이 커피 전문점에서 가장 즐겨마시는 아메리카노 가격은 요지 부동이다. 원두 가격 하락에도 지난해 아메리카노 등을 일제히 300원씩 올려 소비자들이 원성을 샀다. 하지만 최근 원재료 값이 더 떨어진 상황에서 커피 전문점들의 가격인하 계획은 아직까지 전무하다.

업계 관계자는“국제 원두가격이 하락하긴 했지만 커피 전문점은 임대료 상승이 제품 가격의 인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해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90일 유예’에 폭등…나스닥 12.16%↑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전문가 진단 “보호무역주의는 ‘뉴노멀’…공급망 재편 필요” [공급망 전쟁의 서막④]
  • 상호관세 90일 유예한 트럼프 "사람들이 겁먹고 있길래…"
  • 중추신경 질환 잡아라…신약개발·마케팅 집중하는 기업들
  • 국제유가 60달러 붕괴ㆍ정제마진 바닥…정유업계 초비상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10:2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146,000
    • +7.91%
    • 이더리움
    • 2,434,000
    • +14.27%
    • 비트코인 캐시
    • 448,000
    • +13.71%
    • 리플
    • 3,005
    • +14.52%
    • 솔라나
    • 173,800
    • +12.78%
    • 에이다
    • 923
    • +12.97%
    • 이오스
    • 1,055
    • +8.99%
    • 트론
    • 353
    • +3.22%
    • 스텔라루멘
    • 353
    • +8.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220
    • +11.81%
    • 체인링크
    • 18,460
    • +16.03%
    • 샌드박스
    • 378
    • +11.83%
* 24시간 변동률 기준